해방 후 한국인의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 - 언론 보도기사와 기록물을 중심으로
The Universalization and Embodiment of Koreans' Recognition of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 Based on Media Reports and Archives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독도연구
- 제36호
- : KCI등재
- 2024.06
- 167 - 212 (46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한민국 국민들의 의식에 자리 잡고 있는 독도영유권에 대한 인식이 언제부터 어떻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는지 고찰해보는 것이다. 또 그러한 인식이 어떻게 전 국민에게 보편화되고 체화되어 왔는지 언론매체와 기록물 등을 통해 그 과정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첫째, 해방 후 1947년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의 조사활동에 의해 독도의 존재가 처음으로 국민들에게 알려졌다. 둘째, 1948년 ‘독도폭격사건’의 발생으로 인한 동해안어민들의 무고한 희생에 의해 독도의 존재가 전 국민의 의식에 뚜렷이 인식될 수 있었다. 셋째, 1952년 이승만 대통령에 의한 ‘평화선’ 선언은 독도를 포함한 해양영토에 대한 전 국민적 주권의식으로 고양되어 전국적인 규탄대회 등을 통해 보편화 되고 체화되기 시작했다. 넷째, 이러한 영토주권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영토수호 의식은 1953~1956년 독도의용수비대의 독도수호활동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요컨대 독도영토주권에 대한 보편적 인식의 확대와 그에 따른 확신이 해방 후 1947년~1956년 사이 약 10여 년간 독도와 해양영토주권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점차적으로 전 국민적 독도수호 의식으로 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이러한 독도수호 의식과 의지가 결집되고 확산되어 전 국민에게 심화되면서 독도영유권 인식의 보편화와 체화로 이어지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n and how the percep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which is currently in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began to for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ow such perceptions have become common and embodied in the entire nation through the media and records. First,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the existence of Dokdo was first known to the public by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Ulleungdo-Dokdo Academic Research Group of the Joseon Mountaineering Association in 1947. Second, the existence of Dokdo could be clearly recognized by the consciousness of the whole nation by the innocent sacrifices of East Coast fishermen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Dokdo Bombing Accident in 1948. Third, President Syngman Rhee's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in 1952 was elevated to a national recognition of sovereignty over marine territories, including Dokdo, and began to become common and embodied through national rallies. Fourth, this firm belief in territorial sovereignty and a consciousness of territorial protection led to the activities of Dokdo Voluntary Guards from 1953 to 1956. In short, the expansion of universal awareness and convic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gradually began to emerge as a national Dokdo protection consciousness through a series of incidents surrounding Dokdo and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for about 10 years between 1947 and 1956 after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As a result, this consciousness and will to protect Dokdo were gathered and spread, deepening to the entire nation, leading to the universalization and embodiment of the recognition of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1. 머리말
2. 조선산악회 울릉도·독도학술조사단의 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47)
3. 독도폭격사건과 독도영유권 인식(1948)
4. 평화선 선언과 독도영유권 인식(1952)
5. 독도의용수비대의 독도수호활동과 독도영유권 인식(1953~1956)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