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도시계획에 따른 마을신앙 공동재산의 변화
Changes of the common property of Village Faith according to Urban Planning in Seoul area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민족문화논총
- 제87집
-
2024.08393 - 423 (31 pages)
-
DOI : 10.15186/ikc.2024.8.31.13
- 8

본 논문은 도시계획에 따른 마을신앙 공동재산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도시계획에는 물리적·경제적·사회적 계획이 포함된다. 지금까지 마을신앙 변화에 대한 연구는 ‘도시화’를 중심으로 외부인의 유입과 지역경제의 변화에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공동재산은 ‘공동으로 소유한 재산’으로 ‘공동소유’이며, 마을신앙 공동재산은 공동소유의 분류 중 ‘총유’의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공동소유는 하나의 물건을 2인 이상 다수의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한 형태이며, 총유는 지분· 사용·처분이 공동으로 이뤄진다. 마을신앙 공동재산은 마을신앙을 전승하기위해 마을공동체가 소유한 재산으로, 물적·사회적·지적 재산으로 분류하였다. 도시 공간계획에 의한 서울의 발전상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1960~1970년대로 기초 기반 시설을 구축하던 시기이다. 2단계는 1980~1990 년대로 도시 개선과 미화 정책을 시행하던 시기이다. 3단계는 2000~2020년대로 낙후 지역 정비와 재생을 시행하던 시기이다. 도시화에 의한 마을신앙의변화 논문들은 1단계와 2단계에 의한 외부인 유입과 지역경제의 변화를 중점으로 다룬 것이다. 도시계획에 의한 공동재산의 변화를 물적·사회적·지적 공동재산으로 나눠살펴봤다. 물적 공동재산의 변화는 마을신앙 공간의 이동이다. 인구밀도가 증가하고 산업구조가 2.3차 산업 위주로 재편성되는 도시화 과정에서는 마을 제당은 이전되지 않았다. 지역이 물리적·경제적·사회적 계획을 포함하는 도시계획에서는 마을 제당은 이전된다. 사회적 공동재산의 변화는 전승공동체의재구성이다. 마을신앙을 전승하는 사회적 공동재산은 마을 안의 여러 공동체다. 이 공동체 중에는 친목 중심의 공동체와 행정 목적 중심의 공동체가 있다. 지적 공동재산은 전승지식의 약화와 사유화를 겪고 있다. 마을신앙 의례가 축소되면서 전승지식이 약화하고, 소수에게 전승되면서 사유화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nge of village faith common property by urban planning. Urban planning includes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planning. Changes in village beliefs focused on the influx of foreigners and changes in the local economy, focusing on changes caused by 'urbanization'. Joint property is joint ownership, and village faith joint propert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overall ownership' among the classifications of joint ownership. Joint ownership is a form of joint ownership of one object by multiple people with two or more people, and overall ownership is jointly owned, used, and disposed of. Community property of village beliefs is property owned by the village community in order to transmit village beliefs, and is classified as material, social,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development of Seoul by urban space plann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in the 1960s and 1970s when basic infrastructure was built. The second stage was in the 1980s and 1990s, when urban improvement and beautificat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The third stage is the 2000-2020s, when underdeveloped areas were maintained and regenerated. The change in common property due to urban planning was examined by dividing physical, social, and intellectual common property. The change in material common property is the movement of the village faith space. The change in social common property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transmission community. Intellectual common property is undergoing the weakening and privatization of transmission knowledge.
Ⅰ. 머리말
Ⅱ. 마을신앙 공동재산의 개념과 유형
Ⅲ. 서울지역 도시계획과 마을신앙 현황
Ⅳ. 서울지역 도시계획으로 인한 마을신앙 공동재산의 변화
Ⅴ. 맺음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