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연기감지기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실화재 기반 성능시험 설계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ing Design Factors for Performance Testing Based on Full-Scale Tes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moke Detector

  • 6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재난과 화재 상황에서 화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초기화재 진압과 재실자 피난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잦은 오작동과 비화재보로 인해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져 화재를 정상감지하여도 설비를 정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여 대피시간을 확보하지 못해 피해가 확산되는 상황 을 초래하고 있다. 감지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외에서는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및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기준 등을 기반으로 종이, 목재, 인화성액체 시험 외 다양한 화원을 적용한 성능평가를 통해 연기특성과 감지기의 부착 높이 등을 고려한 실화재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폼 및 요리방해인자 시험을 도입하 여 화재 및 비화재보에 대한 실증실험을 통해 제품을 최종 검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자동화재탐지설비를 형식승인 시험에 의거한 법적인 승인을 받을 시 판매 및 유통을 허가하 고 있으며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과 ‘감지기의 우수품질인증 기술기준’에 기반한 주위온 도시험, 인장시험, 내구성시험 등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형식승인의 유일한 화재시험 항목인 감도시험은 단일화원사용 및 설치환경 미고려 등의 문제로 응답특성의 한계가 발생하여 비화재보 저감에 기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화원에 대한 연기특성과 연소생성물 등을 고려하여 실화재 기반의 성능시험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감지기 형식승인 및 시험기준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실증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성능시험 설계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감지기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