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연기감지기 비화재보 저감을 위한 다중 센서 추론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 Inference Method for Reducing Unwanted Alarms of Smoke Detector

  • 4

NFTC 203 개정을 통해 연기감지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적응성이 떨어지는 장소에서 비화재보가 발생함에 따라 감지기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있다. 이에 비화재보 저감을 목적으로 UL 268/217 Go/No Go test를 기반으로 화재 및 비화재 상황에서의 환경을 분석하여 다중 센서 추론기법을 통해 화재 확률로 나타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UL 268/217 연기감지기 시험 기준에 따른 Go/No Go test를 진행하였으며 기준에 제시된 연기감지기 외 추가로 연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광원 센서 및 비화재보 방지에 적용할 수 있는 연소생성물의 응답 특성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실내공기질 센서를 부착하여 온도, 습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를 측정하였다. 연소생성물의 측정 결과를 검토한 결과 Cooking Nuisance Test 중에는 미세먼지와 습도가 일시적으 로 증가하였으나 이는 기준의 특성상 냉동된 햄버거 패티의 특성으로 판단되며 Polyurethane Foam Test 시작과 동시에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 및 비화재 상황에서 모든 인자가 연기와 유사한 경향성을 띠지만 최종적으로 화재 판별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이산화탄소 및 미세먼지로 판단된다. 선정된 인자들을 통해 범위를 설정하여 그 정도를 표기하고, 인자들의 경향성 분석을 토대로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연기감지기의 화재 및 비화재보를 정량적으로 수치화 화재 확률을 나타냈다. 제안된 화재 확률 알고리 즘을 연기감지기와 연동하여 활용하면 화재 및 비화재보 판별에 있어 개선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감지기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선정한 두 가지 인자를 기준에 제시된 실험을 통해 설계한 것으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