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5385.jpg)
공동주택 화재 위치 찾기에 관한 연구 - 인지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of Fire in Multi House - Congnitive Perspective -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15 - 15 (1 pages)
최근 공동주택은 대형화로 수직적⋅수평적으로 공간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으며, 화재하중 및 가혹도가 높아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시 신속한 발화위치를 찾기 위한 전술방안이 필요하다.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현황에 의하면, 국내 아파트 거주비율이 64%로 20년 이상 노후화된 주택 비율은 45.7%이며, 2024년 소방청 5년간 아파트 화재 통계)에 따르면 총 화재 건수는 14,112건으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으며, 최근 인천 청라동 지하주차장 아파트 화재와 같이 연계성 있는 교육이 필요로 하고 있다. 화재 시 인지 지연, 화재위치 식별 곤란, 급격한 연소 등 초기에 화재를 찾아 진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관점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건물관계자, 소방대원, 건축물구조, 소방시설로 구분하였으 며, 건물관계자의 평가지표는 수신기 확인⋅CCTV⋅주민대피⋅옥내소화전 활용, 소방대원은 방재실 수신기 로그 확인⋅일람구역도⋅연결송수관설비 활용⋅자체소방대 활용, 건축물구조는 가압펌프 위치 확인⋅피난동 선⋅설계간 건물구조⋅방호구획 구성, 소방시설은 기동스위치 확인⋅연결송수설비 위치⋅소방시설 유지보수⋅ 소방시스템의 정상상태⋅연결송수설비 단일화로 각 항목별 중요도, 가중치, 평가값을 분석하여 인지적 관점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초기화재 위치를 찾기 위한 인지적 관점의 소방시설(40.58%), 건물관계자(30.59%), 소방대원(15.13%), 건축물구조(13.7%)로 순으로 소방시설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연속성을 가진 정상상태 유지와 유지보수의 중요 성을 분석되었고, 하위항목은 소방시설의 관점으로 상시 소방설비 감시상태 확인 등 유지보수, 건물관계자의 관점은 방재실 수신기, 감지기, SP설비 등 확인 후 위치 파악 및 신고, 소방대원의 관점은 연기흐름 및 불꽃 위치에 따라 차량 부서 및 소방호스 배치하여 초기 진화, 건축물 구조의 관점은 피난특성에 따른 동선을 이용한 방호구획 구성과 소방시설 설계간 초기 건물정보에 관한 내용을 명확한 구성이 중요하며, 화재 전술 교육에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