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조사플랫폼 이용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원인조사 신뢰도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ch on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Casus Investigation using Visul Thinking Using a Fire Investigation Platform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18 - 18 (1 pages)
본 연구는 화재조사의 신뢰성과 공신력 향상을 위한 혁신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화재원인 조사 결과는 소방행정, 예방 정책 수립, 소방관 교육을 위한 핵심적 통계 자료로 활용되며, 축적된 화재원인 분석 데이터는 소방 분야의 중요한 메타데이터로 기능한다. 따라서 화재원인 조사 결과의 지속적 축적과 더불어 그 신뢰성 및 공신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소방청은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을 통해 화재조사 데이터를 수집, 축적하고 있으며, 이를 동일기관에서 운영 중인 빅데이터포털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러 나 대규모 화재나 사회적 이슈가 된 사건을 제외한 일반적인 화재조사는 전문가와 경험 많은 화재조사관의 합동 조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원인조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와 경험 많은 화재조사관이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화재조사플랫 폼을 제안하고, Visual Thinking 기법을 활용한 원인조사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플랫폼과 방법론의 효용 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화재 실험을 실시하고, 화재조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안된 플랫폼을 통한 협업적 화재조사 방식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원인 규명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Visual Thinking 기법의 적용은 복잡한 화재 현장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데 효과적이었고, 이는 조사관들 간 조사관과 전문가의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를 촉진하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화재조사의 과학화와 표준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고도화된 화재조사 시스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제안된 플랫폼과 방법론은 화재조사 교육 프로그램 개선에도 적용 가능하여, 화재조사관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