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피난경로 상 방화문의 개방력 측정을 위한 현장조사

Field Survey to Measure the Opening Force of Fire Doors on Evacuation Routes

  • 5

화재 시 피난경로 상 방화문은 각각의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조인트 부분으로서 화재 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는 미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110 N)을 가했을 때 쉽게 열리도록 설치 되어야한다. 그러나 방화문의 노후화나 과압으로 인해 개방력이 상승하여 피난 시 개방이 안되거나 개방 시간이 증가하여 피난 실패 및 피난 시간 증가와 같은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노후화 방화문 및 과압으로 인한 개방력 상승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기본적인 현황 파악이 안되어 있어 유지관리 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방화문의 노후화 및 과압이 방화문의 개방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장조사는 2024년 5월 16일부터 7월 1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충청남도에 위치한 공동주택 9곳에서 169개의 방화문, 숙박시설 2곳에서 60개의 방화문, 복합건축물 4곳에서 166개의 방화문을 대상으로 총 15개 장소에서 395개의 방화문에 대해 실시하였다. 이 중 9곳에서 노후화로 인해 비틀리거나 부식된 방화문이 12개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노후화와 개방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나머지 383개의 방화문은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때의 방화문 개방력과의 관계와 개방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압의 지점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노후화나 과압에 의한 방화문의 개방력 현황을 파악하고, 개방력 이 상승하는 이유를 도출하여 방화문의 노후화 및 제연설비의 과압에 대한 유지관리의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 자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