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원자력발전소 산불 확률론적안전성평가 수행을 위한 화재모델링 분석

Fire Modeling Analysis for Forest Fir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 5

지형학적 특성상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대부분은 산림에 인접해 있으므로 산불에 대한 분석은 원자력발전소 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2022년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은 한울 원자력발전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차단시킨 바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산불이라는 외부재해에 대한 원전 확률론적안 전성평가(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울 원자력발전소 인접 산림에 서 발생한 산불이 부지 내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FDS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화재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산불의 확산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Qgis 및 FDS 연료모델을 활용하여 한울 원자력발전소 인근에 대한 지형데이터 및 산림정보를 구현하였고 기상청으로부터 울진-삼척 산불 당시 기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여러 기상 조건(연평균 풍속, 풍향, 상대습도)에서의 산불 확산 거동을 평가하였다. 또한 한울 원자력발전소 부지 및 스위치야드에서 위치별 온도, 열유속, 독성가스 농도 및 가시거리를 예측하여 산불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화재모델링 결과, 기상조건이 변화되면 산불의 확산속도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발전소 부지 및 스위치야드에서의 온도 및 열유속은 손상기준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와 같은 연소생성물과 연기에 의한 영향도 미미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원자력발전소 화재 PSA 수행 시 입력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