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작동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Underground Parking Lots Sprinkler System Operation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50 - 50 (1 pages)
최근 국내 전기차 등록대수가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관련 화재 또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로 인하여 전기차 화재에 적응성 있는 소화설비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현재 지하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시설 중 전기차 등 지하공간에서 가장 적응성 있는 설비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으로 정상 작동된다면 소방대 출동 전까지 화재제어가 가능한 가장 적합한 소방시설이다. 지하주차장에 주로 적용하고 있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준비작동식 및 건식 시스템이다. 그러나 현재는 주로 동파 방지 및 유지관리에 유리한 싱글인터록 준비작동식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감지기 에 의해 화재를 감지한 후 쏠레노이드 밸브를 작동, 클레퍼가 개방되어 2차측으로 가압수가 이동한다. 수손피해 방지 장점이 있으나 감지기 기능 상실 및 중계기 등 통신 장애 시 시스템 작동이 안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습식 스프링클러 적용 의무화 제안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있다. 그러나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동결, 동파 우려가 크고 보온과 열선 시공 및 유지관리 비용이 상당하다는 단점이 있다. 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시스템 작동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기존 준비작 동식 및 건식 시스템을 3계절 습식방식, 동계 건식배관으로 운영하고, 시설물 점검 시 밸브 2차측 충수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신축 건물에는 첫째 방식에 더불어 NFPA13에서 규정하고 있는 논 인터록 방식 즉, 감지기 감지 또는 헤드 개방으로 작동하는 준비작동식 시스템을 적용한다. 셋째, 감지기 화재 감지 시 중계기를 거쳐 쏠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는 방식에서 감지 시 즉시 쏠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관련법 령 개정을 통하여 습식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부동액을 사용하여 동파방지 및 스프링클러 작동 신뢰성을 향상 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