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등 연결송수관설비 활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tilization of Fire Department Connection Facilities such as Apartment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51 - 51 (1 pages)
- 2

본 연구는 아파트등에 설치된 연결송수관설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6년간(2018년 8월~2024년 8월) 신축된 아파트등 10개소의 가압송수장치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2개소를 선정하여 소방펌 프차를 이용한 고층부 송수 실험을 진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결송수관설비의 활용성을 저해(중앙소방학교 소방경 155명의 설문조사 ‘24.6.17, 8.21~22. 반영)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가압송수장치 송수압력 표시 미비(1개소), 1.4 MPa 이상의 넓은 송수압력 범위(2개소), 가압송수장치 흡입측 전 구간 및 토출측 일부 배관경로에 1.2 MPa 미만의 일반배관 설치로 고압력 송수불가(10개소), 70 m 이상 일부 동에 가압송수장치 송수구 및 기동스위치 미설치 (1개소), 펌프실로부터 가장 먼 동 송수구까지의 거리 300 m 이상(1개소)이다. 여기서, 연결송수관설비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502) 제5조 주배관 100 mm 기준 적용 시, 가압송수장치로부터 가장 먼 동까지의 거리가 300 m인 경우 마찰손실은 5.1 m(흡입측 및 토출측 반영 10.2 m)증가한다. 계산조건은 하젠윌리엄즈식을 적용하며, KS 내경 기준 D 105.3 mm, 조도 C 백관 기준 120, 유량 Q 600 L이다. 아파트등의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 송수실험 결과, 첫째, 가압송수장치 명판의 가압송수장치의 송수 압력범위와 가압송수장치 양정(m)은 제각각이며, 명판의 송수압력범위를 정하는 기준은 없었다. 따라서, 소방 펌프차의 송수압력은 0.3 MPa(PTO동력전달)부터 천천히 상승시켜, 고층부 송수압력범위를 확인한다. 실험대상 의 고층부 송수압력은 각각 0.3 MPa, 0.6 MPa 이였다. 둘째, 가압송수장치 미작동 시 고층부 송수 가능성 확인한 결과 방수구가 설치된 층고 + 필요양정(Required) 50 m(흡입수두 + 소방펌프차 공급압력)로 고층부 송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효율적 소화활동을 위해서는 가압송수장치 양정, 가압송수장치까지의 흡입수두 및 15-40층까지 5개 층마다 층고 표시를 필요하다. 아울러, 설계 시 가압송수장치로부터 가장 먼 동 송수구까지의 마찰손실은 0.1 MPa 미만으로 제한하고, 0.1 MPa 이상일 경우 단지 내 추가 가압송수장치 설치를 제안한다. 향후 과제로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의 아파트건축물의 실험표본을 넓혀 추가적인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