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리스크 평가의 이해와 ICT와의 연계

Comprehension of Risk Assessment and Strategies for Integration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 7

리스크 평가란 리스크 분석(QRA)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가능성과 피해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 여 리스크의 수준을 판단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거나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방을 포함한 재난 및 안전과 관련하여 ICT기술을 활용하는 목적은 리스크를 저감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연구자가 ICT를 활용하여 리스크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판단하기 위해서는 리스크 평가의 요소 중 어떠한 단계와 개념에 해당하는 것인지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리스크 평가는 Hazard analysis, Impact analysis, Return period analysis, Vulnerability analysis, Capacity analysis, Exposure analysis, Damage analysis 등 각각의 분석을 통해 리스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리스크 평가를 위한 대표 연구 분야를 살펴보면, Hazard는 지리정보시스템(GIS)와 AI기반 예측모델, 모니터링과 연관되어 있으며, Impact의 경우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뮬레이션, Return period는 과거재난 발생기록을 바탕으로 재현 주기를 분석하며, Vulnerability는 재난 시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건축물을 센서로 관리하거나 인구,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Capacity의 경우 응급 통신시스템, 재난대응플랫폼 과 같이 취약성을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 Exposure의 경우 노출된 지역을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드론 및 위성영상을 통해 GIS를 활용하여 Damage를 예측하는 분야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리스크 평가를 위한 용어 및 각각의 분석을 이해하고 ICT 활용 방향성을 확립하고자 한다. 리스크평가의 각 단계 및 절차는 ICT기술 및 응용분야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에, 리스크 평가의 명확한 용어 및 단계를 이해한다면, 리스크저 감을 위한 기술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