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호출기의 오작동 방지를 위한 응급응답 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mergency Response Systems to Prevent Malfunctioning of Emergency Pager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62 - 62 (1 pages)
최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으나, 노인들 이 의도치 않게 발생시키는 오작동 경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운영된 응급응답 시스템에서, 총 8만 5천 건의 응급 호출 중 5,400건만이 실제로 문제가 있는 상황으로 집계되었 다. 나머지 94%의 대다수의 호출은 무응답, 오인, 또는 불필요한 경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응급응답 시스템의 경우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인해 오작동 경보가 빈번하게 발생하 며, 이로 인해 실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이 지연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욱 정교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노인들이 사용하는 위급 상황 버튼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응급응답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오작동 경보는 응급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실제 긴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을 저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급 상황 버튼의 오작동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댁내 거주자의 건강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탐지 및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mWave 센서를 활용한 비접촉 방식의 신호 취득을 통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mmWave 기술의 비접촉 특성은 카메라나 마이크와 달리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없으며, 정확한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개선된 시스템은 기존의 오작동 빈도를 크게 줄일 수 있었으며, 응급 대응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응급응답 시스템은 가정 및 요양원에서 노약자를 돌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노인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