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화재감지기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화재사례분석

Analysis of Fire Cas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Fire Detector

  • 8

최근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지하화 등 복합화 추세에 따라 화재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명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필수적인 소방설비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가장 핵심 이 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등의 연소 생성물을 감지하고,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하 고, 경보장치를 통해 건물 내 사람들의 피난을 유도하고 소화설비와 연동하여 초기소화 및 화재진압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여러 화재사례를 통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현실적인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최근의 10년 이내 발생한 대형화재 중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천 세일전자 화재, 이천 덕평물류센터 화재와 같이 잦은 비화재보로 인한 화재감지기의 신뢰성 저하 문제로 고의적인 수신기 차단이나 경종 정지 등의 행위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초기소화를 놓쳐 화재피해가 확산된 사례가 다수 존재했다. 반면, 울산 삼호나 아르누보 아파트 화재의 경우, 외장재에 의하여 연소가 가속화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화재감지기와 같은 소방시설이 정상작동하며 화재가 내부로 확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재 규모 대비 피해가 적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화재감지기의 작동 여부와 성능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며, 기존 시험 기준이 실제 화재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국내 감지기 성능 시험은 형식승인 기준에 따른 감도시험에 국한되어 있으며, 다양한 가연물에 대한 실화재 시험이 부족하다. 이는 감지기의 신뢰성을 떨어뜨 리고, 결과적으로 화재에 대한 대응 능력을 저하시킨다. 반면, 국외에서는 다양한 가연물에 대한 실화재 시험 기준을 도입하여 감지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성능 검증을 위한 객관적인 시험 기준이 필요하며, 실증화재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감지기의 신뢰성을 높이고, 화재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