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냉동창고 환경에서의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파이프 막힘 현상 감지를 위한 실증 실험연구

An Empirical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tection of Pipe Clogging in Air Sampling Smoke Detector in a Refrigerated Warehouse Environment

  • 2

현재 국내에서는 화재피해가 막대하게 발생 될 공간에서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를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창고는 물론 냉동창고와 같은 저온창고 시설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하주차장, 박물관, 지하철 역사 등 활용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렇게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는 극저온 환경이 유지되는 냉동창고에서 잦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데,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는 기능적 특성상 365일 내내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때 냉동창고 내의 차가운 공기와 창고 먼지도 흡입하여 파이프 홀에는 성에 또는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여러 현장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해 현장에 설치된 파이프 흡입 홀을 하나하나 빨아들여 청소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물류식 냉동창고의 특성상 대규모 공간이며, 파이 프의 성에나 이물질에 의한 파이프 막힘 현상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관리 또한 쉽지 않은 실정이다. 성에 등에 의한 감지부 막힘 현상이 지속된다면 실시간 화재감지 능력이 저하되고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의 기능적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파이프 내의 흡입 압력을 활용하여 성에 및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을 감지하고 관리자가 즉각 대처할 수 있는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를 개발하고 자 실증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의 기술적 발전과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아이디어에 따른 재연실험을 진행하여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조건은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초입단에 전압형 압력측정 센서를 설치하였고, 감지부인 파이프는 소규모 냉동창고에 10 m 설치하여 성에 및 결로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발생시켜 압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파이프 막힘 현상이 진전될수록 압력센서의 전압값이 초기값보다 변화율이 높게 나타나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평시 상태와 불안정 상태의 경우에도 뚜렷한 차이점이 보여 기술적으로 일체형 개발을 통해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