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화재사례 조사를 통한 스프링클러설비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Issues in Sprinkler Systems through Fire Case Investigations

  • 11

화재 예방과 인명 및 재산 피해 저감을 위하여 각종 법령을 근거로 일정 면적 또는 특정한 용도의 건축물에 소방시설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를 목적으로 하는 주요 소방설비로, 화재 확산을 저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대형 창고, 공장, 고층건축물, 지하 시설, 복지 시설, 병원, 호텔, 백화점 등과 같이 화재 발생 시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곳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2018년 소방 안전 인프라 구축 및 운영 실태 감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건물화재 658건 중 99건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고, 이를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인명피해가 약 8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프링클러 설비가 오작동하거나 미작동하면 화재가 확산되 고, 이로 인해 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 화재 현장에서 소화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소화설비의 신뢰성이 저하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다수의 재실자들이 소화설비가 작동되어도 오작동으로 판단하고, 자체 대응이 지연되며 피해가 확대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화재사례를 통해 스프링클러 설비의 문제점을 분석하 고, 이를 바탕으로 소화설비의 신뢰성 저하의 원인을 규명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화재사례를 조사하여 스프링클러 설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스프링클러 설비의 신뢰성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