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주차장 스프링클러 강관배관 부식 원인 및 대책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Corros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Sprinkler Steel Pipe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91 - 91 (1 pages)
최근 국제적 환경문제 심화와 정부의 친환경정책 등으로 국내에서 친환경차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 라는 고층 건물의 밀집도가 높고, 주차공간 확보를 위해 지하주차장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하공간 에서 전기차 등의 화재발생 건수 및 재산피해액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인천청라 전기차 화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지하공간에서 발생한 화재는 수많은 재산피해를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에서 소방시설을 갖추고 있고 관련 기술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소방시설물 중 스프링클러설비는 전기차 등 여러 종류의 화재에 가장 적응성 있는 시설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대상물의 천장에 부착된 스프링클러 헤드로부터 물을 자동으로 방사하여 냉각과 질식 효과를 통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이다.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에는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부압식, 일제살수식 설비 로 구분할 수 있다. 소방용 배관의 종류에는 강관, 동관, C-PVC관, 스테인리스강관, 덕타일 주철관 등이 있으며, 공동주택 지하주 차장에서는 아연도금 백강관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화설비의 작동 신뢰성 유지를 위해서는 배관의 부식관리 또한 중요하다. 소화배관 시스템은 구조적으로 배관간의 이음부 밸브, 펌프 및 게이지 설치부 등에서 이종금속부식전지와 산소농담전지가 필연적으로 형성되어 부식이 발생하고, 지하주차장에 주로 사용되는 건식 및 준비작동식 스프 링클러 시스템에서는 시공단계에서 배관 누수 여부를 확인을 위해 기압 및 수압시험을 진행한 후, 배관에 체수가 존재하여 산소농담전지 부식으로 양극 부에서 국부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강관배관 부식에 따른 누수의 개선 대책으로 시공 후 수압시험 단계 및 유지관리 시 일정 주기로 부식억제제 수용액을 첨가할 경우 부식억제제가 금속 표면에 흡착되고 피막을 형성하면서 양극 부에서 산화반 응의 차단으로 부식방지에 효과가 있어 소화설비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