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ages from 한국화재소방학회_2024추계학술대회 초록집_표지내지광고합본.jpg
학술대회자료

Horizon-EU SYNERGISE 무인지능로봇 재난AR비상통신플랫폼

The Disaster AR Emergency Communication Platform for Unmanned Intelligence Robots in Horizon-EU SYNERGISE Project

  • 6

2023년부터 유럽 Horizon-Europe SYNERGISE 국제공동연구(‘23.09.~’27.02, 3년6개월)에서는 광범위한 극한 재난 위험지역(반경 5 km)에 인명구조요원들(예: 소방관, 경찰관 등)이 (안전-XAI 기능을 갖춘) 무인지능AR로 봇들과 함께 재난현장에 긴급 투입되며, 이를 지원하는 {극한위험현장 ↔ 로봇 ↔ 구조요원(First Responder) ↔ 현장지휘소(Field HQ) ↔ 중앙관제소(Remote HQ)}간을 원격협업하는 휴대이동형 재난AR비상통신플랫폼 제공을 실용적 수행하고 있다. 극한재난현장 구조팀에는 유독가스 센싱(ASTRIAL會社) 및 현장 영상감시하는 플라잉드론(NTNU大學), 걸 어다니는 로봇개(ETH大學), 건물붕괴탐사용 로봇뱀(TOHOKU大學), 실내 위치측위 전자발찌(SYSNAV會社), 구조요원 생체보호 지능슈트(WEARIN會社)가 투입이 되고, 이를 지원하는 안전-XAI(CERTH연구소), 사람과 기계간 팀워크(TNO연구소), C3I/IMS 재난현장감시(ASTRIAL會社) 및 AR교육훈련/영상통화/보조역할(버넥트 會社), 통신을 모르는 긴급구조요원이 비상통신키트만으로 Plug&Play 설치 및 30 min 내 무인지능AR로봇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이동휴대용 Private-5G Spine/Leaf/AP노드를 ETRI에서 개발 중에 있다. 앞으로의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붕괴터널 내에서의 3D 공간매핑 자율비행, 구조요원 도착 전 골든타임 내 피해상황 자동⋅자율 상황인지(30% 단축, 50% 도피, 30% 재난센싱/측위, 90% 위험감지/분류/예측율, SYNERGISE KPI 목표) 및 On-Device와 On-Sensor AI-Hub 엣지(3D공간)컴퓨팅이 필요하며, XR 응급의료시스템이 소화전 등 고정 위치 혹은 현장대기로봇들이 긴급 지원 출동하는 긴급구난 체계 및 피해예측 디지털트윈 시스템(예: 도피 군중난류 충돌 압사 위험도 분석 및 안전도피 긴급 경로지시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ETRI와 ㈜버넥트에서는 공동협업하여 반경 5 km 재난지역을 XR원격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Private-5G gNodeB 중계기 {트럭 탑재(중형:3 miles) 혹은 백팩 탑재(소형:짧은거리 몇백 m 이내)}, 3D 공간사물 Semantic 시각지능 AI/ML-정보처리(공간지능컴퓨팅), RAG 기반의 소형 ChatGPT(LLama3-8B 등)이 통합된 엣지XR통신지능컴퓨팅과 극한 화재현장 등에 투입되는 지능AR로봇들과 현장구조요원들 간에 긴급 구난활동 동작들이 일치할 수 있는 시민감(Time-sensitive) 엣지디바이스통신키트를 향후 제공코자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