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관련 주제어실 포기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 요소
Decision Factors for MCR Abandonment in Fire-Related Situations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24.10
- 98 - 98 (1 pages)
화재의 위험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 요소 중 하나로 언급되어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에서의 화재 위험을 정량화하기 위한 연구 및 화재 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 다.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NRC)와 전력연구소(EPRI)는 공동 연구를 통해 화재시 인간신뢰도분석(HRA) 방법론에 대한 지침(NUREG-1921)을 개발하였고, Supplement 1 및 2를 통해 주제어실 포기(MCRA) 시나리오와 관련된 인적 행위의 질적 및 양적 분석 방법론을 기술하였다. 주제어실(MCR) 포기 상황은 주제어실이 상주 불가능하거나 주제어실내 제어 상실로 인해 발생한다. 주제어 실 운전원은 사고시 절차서 지침에 따라 의사결정을 진행하도록 훈련되어왔고 사고의 진단 및 사고시 운전은 모두 절차서에 의존한다. 화재로 인한 주제어실 포기 상황에서도 절차서의 기술 수준이 인적실패확률(HEP)을 낮추기 위한 중요한 요소인 반면, 국내 절차서의 경우, 주제어실 포기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은 거의 운전원에게 위임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 방법론을 정리한 NUREG-6850에는 화재로 인해 운전원이 상주 불가능한 환경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주제어실 화재 상황에서 운전원이 해당 기준을 적용하기는 용이하지 않음을 운전원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주제어실 포기 상황에 대한 운전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절차서의 기술 요소를 다룬다. •주제어실 상주 불능 및 제어 상실에 대해 고려할만한 요소 •주제어실 포기에 대한 의사결정권자 (단독/협동) •주제어실에서 원격정지제어반(RSP)으로의 운전원 이주 방안 (부분 이주/전체 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