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기감지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사례 분석 기반 실험적 연구

Experiment al St udy based on Case Analysi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moke Detectors

DOI : 10.7731/KIFSE.4c67d37b
  • 9

본 논문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연기감지기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설문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비화재경보가 주로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습기, 조리 연기, 먼지 환경을 시나리오로 선정하여 재현실험하였다. 습기는 다습한 환경으로부터의 유입량 변화에 따른 연기감지기 작동 변화를 확인하였고, 조리 연기는 실내 환경을 상온 조건과 다습 조건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습기와 조리 연기 실험 조건에 분진를 입힌 연기감지기의 비교 실험까지 수행한 결과, 습기의 유입량과 연기 발생량, 먼지의 적층에 따라 연기감지기의 반응시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곳에는 연기감지기 설치가 적절하지 않으며, 먼지가 적층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점검과 청소가 필요함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여 비화재경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기감지기의 유지관리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aimed at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smoke detector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surveys and expert consultations, the primary causes of unwanted fire alarms were identified, and scenarios involving humidity, cooking smoke, and dust were selected for re-enactment experiments. The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al changes in smoke detectors under varying humidity levels and conducted tests under both normal and humid indoor conditions for cooking smoke. Addition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smoke detectors coated with dust to observe their performance under different humidity and smoke condi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time of smoke detectors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oisture present, the amount of smoke generated, and the accumulation of dust. In conclusion, the study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smoke detectors should not be installed in areas exposed to high humidity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regular inspection and cleaning to minimize unwanted fire alarms.

1. 서 론

2. 연기감지기 설치·관리 실태조사

3. 재현실험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