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병원 밖 급성 심장정지 환자 중 근로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전 특성

Analysis of Prehospit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ccurring During Work

DOI : 10.7731/KIFSE.c0d45b55
  • 64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의 급성 심장정지 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22년까지 병원 밖 급성 심장정지 환자 중 유 소득 근로 중에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심정지 원인별 일반인 심폐소생술에 의한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근무 중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질병 23.6%, 질병 외 5.0%로 전체 심장정지 환자보다 높았다. 일반인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질병 35.0%, 질병 외 11.6%였고, 목격한 사람이 동료인 경우가 질병 72.9%, 질병 외 76.8%였으며, 심폐소생술 시행률도 질병 42.7%, 질병 외 19.6%로 높았다. 질병과 질병 외 모두 목격자가 있거나 심폐소생술을 실시한 경우 생존율이 높았다. 그러나 근무 중 발생한 심장정지의 45%가 목격되지 않았고,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는 경우와 자동심장충격기의 사용률이 여전히 낮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내용에 응급처치 교육을 추가하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자동심장충격기를 갖추어야 하는 사업장의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개선을 통해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생존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survival rates of out-of-hospital acute cardiac arrest occurring during gainful work from 2013 to 2022. The survival rate at the workplace was 23.6% for patients with medical causes and 5.0% for those with non-medical causes, which was higher than the overall rate. The rate of laypers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was 35.0% for medical causes and 11.6% for non-medical causes. Notably, cases witnessed by colleagues accounted for 72.9% of the medical cases and 76.8% of the non-medical cases, and CPR was performed in 42.7% of the medical cases and 19.6% of the non-medical cases. Survival rates were higher in both cases when there was a witness and CPR was performed. However, 45% of cardiac arrests occurring during work are still not witnessed, and the CPR performance and usage rate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 remain insufficient. Enhancing the training of employees in CPR and AED usage can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1. 서 론

2. 대상과 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