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로버스카우트의 초·중등학교 연계 봉사활동 사례 연구: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Study 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tegrated volunteer activities of Rover Scouts: Exploring the potential of Rover Scout system 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 3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0호.jpg

목적 본 연구는 한국스카우트연맹 소속의 지도자인 로버스카우트 대학생들이 초·중등학교의 스카우트 현장 체험활동에서 학생 지도 봉사활동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분석하여,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스카우트연맹 산하 A연맹(가명)이 A교육청(가명) 관내 초·중등학교와 연계하여 시행하는 현장 체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로버스카우트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대해 질적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고, 대학 졸업요건을 충족한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년 이상1, 10시간 0이상의 봉사활동을 수행한 로버스카우트 대학생 및 졸업생 명을 5대상으로 심층 면담 및 참여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안정되지 않은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대상 봉사활동 과정에서 학생 지도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고, A연맹 중심의 체계적인 봉사활동 운영 시스템으로 인해 오랜 기간 봉사활동을 지속하며 학생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교직에 대한 꿈을 키우기도 했다. 그러나 봉사활동에 대한 대학 차원의 지원 부족이나 로버스카우트 역할에 대한 명시적 경계의 부재로 봉사활동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사례인 로버스카우트 활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교육봉사활동의 취지와 내용에 부합하고 있었다. 또한 본 사례는 현장 체험학습 운영 관련 지식, 학생 생활지도 경험 등 교사로서 반드시 갖춰야 하지만 기존 교원 양성 체제에서는 기르기가 어려웠던 역량을 키워주기도 해서 교육봉사활동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양질의 로버스카우트 봉사활동을 위한 대학 봉사활동 및 로버스카우트 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he Rover Scout program as an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Rover Scouts affiliated with the Korea Scout Association.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guiding students during school field trip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ethods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Rover Scouts. Thes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nder the jurisdiction of a local educational office (both entities are anonymized as A Association and A Educational Office, respectivel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who voluntarily continued to perform over 100 hours of volunteer work for more than a year, even after fulfilling their graduation requirements. Results The participants gained diverse experiences in guiding students during activities outside the classroom, which were often in unstable environments. Due to the systematic volunteer management system centered around A Association,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sustain their volunteer activities for an extended period, which enhanced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nurtured their aspirations to become teachers. However, they also faced challenges, such as a lack of suppor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the absence of clear boundaries regarding the role of Rover Scouts in volunteer work. Conclusions The Rover Scout activities, a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e purposes and content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Moreover,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 developing essential skills and expe-riences, such as knowledge related to organizing field trips and managing student behavior, which are crucial for teachers but difficult to acquire through traditional teacher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volunteer programs and the Rover Scout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volunteer activ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