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설명적 혼합연구법을 중심으로

English learning resilience of Korean students: Using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 4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20호.jpg

목적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법 중 설명적 혼합연구 방식을 활용해 영어 학습 시 발현되는 회복탄력성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을 측정하는 4개 구인(사회적 지지, 만족, 끈기, 감정조절)의 5점 리커트 척도의 설문지를 서울 소재 대학 재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2단계에서는 학교급별로 영어 학습 경험을 서술한 영어 학습 회고록을 서울 소재 대학 재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수합하였다. 설문지에서는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영어 학습 회고록에서는 구인별로 드러나는 양상을 반복적 내용 읽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지 분석을 통해 총 4개의 구인 중 양적 분석 결과 ‘만족’과 ‘끈기’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 ‘끈기’가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이 나타났는데, 학교급과 상관없이 고르게 작용하는 영역은 사회적 지지 중 교사와 감정 통제이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빈도수가 높게 발현되는 회복탄력성 구인은 감정 회복 전략 활용과 전략적 유연성이었다. 결론 이는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서 직면하는 어려움 극복을 위해 학교급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학습 회복탄력성 증진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learning resilience among Korean learners by using 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s. Methods To this end, in the first stage, a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of four constructs (social support, satisfaction, persis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measuring English learning resilience was administered to 180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tage, reflective essays about their English learning at each school level were collected from 52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question were calculated from the questionnaire, and episodes related to each construct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reading. Results The analysis on the questionnaire showed the scores for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ere high among the four constructs.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eachers' support and emotional control were found across the school levels. However, emotional recovery strategies and strategic flexibility appeared with higher frequency as the school level advances.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promote English learning resilienc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level are needed to help learners overcome the challenges in learning English.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