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Clarity and Self-Compass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4권 20호
-
2024.10841 - 857 (17 pages)
-
DOI : 10.22251/jlcci.2024.24.20.841
- 141

목적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개별적 매개효과 및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를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443명(남 122명, 여 321명)의 자료를 SPSS 29.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자, 기자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성인 내담자가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할 경우 내면화된 수치심을 고려하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ults aged 18 and older.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among adults aged 18 and older. A total of 443 participants (122 males and 321 fema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AMOS 26.0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First,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self-compass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Third, a dual mediation effect of both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clarity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when adult clients report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crucial to consider internalized shame and focus interventions on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