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마음공부 제9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동의보감』의 생명관 연구 : 천인상응사상(天人相應思想)을 중심으로

Focus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Thought through the Study of the Perspective on Life of Donguibogam

DOI : 10.61420/mp.2024.5.2.5
  • 24

이 논문은 『동의보감(東賟寶鑑)』에 담긴 전일적 생명관을 천인상응사상을 중심으로 살펴서 『동의보감』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와 통찰의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천인상응사상의 사상적 연원과 의미를 살펴보고 천인상응사상이 『동의보감』에 어떻게 수용·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주역(周易)』에 사상적 연원을 두고 성립된 천인상응사상은 근원적 시초인 태극은 양의(兩儀)를 낳고 양의는 사상(四象)을 낳으며 사상은 팔괘(八卦)를 낳음으로써 형(形)을 이루어 물(物)이 화생(化生)하게 된다는 것이 중심 사상이다. 생명 전체의 근원으로서 원기(元氣)를 설정하고 이 하나의 기가 화생의 과정을 통해 만물이 형성된다는 것은 천지가 모두 일기(一氣)로 이루어져 있고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이 상응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또한 한대의 동중서는 자연만물과 인간이 본질적으로 서로 응하여 동일한 법칙으로 생명 활동을 이루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라는 생명 운동의 법칙을 이용한다. 한편 『동의보감』에서는 생명을 ‘하나의 기(氣)로 부터 비롯하고 음양이기(陰陽二氣)의 움직임에 의해 그 기능이 이루어진다’라고 설명하였는데 이는 생명의 운행 원칙에 순응하고자 하는 관점에 입각한 것으로 오행귀류(五行歸類)와 장상(臟象) 등의 논의를 통해서도 천인상응사상이 어떻게 수용되어 전개되고 있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기로부터 비롯한 인간 생명은 자연의 모습을 닮은 형상을 가지고 만물과 더불어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운용되며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 자연의 법칙에 조화하고 순응함으로써 몸을 다스려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의 운동 양상인 음양소식(陰陽消息)을 통해 하늘과 인간이 서로 동적 상응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천인상응사상에 기반한 『동의보감』의 전일적 생명관, 즉 신체의 각 기관뿐만 아니라 신체와 마음, 몸과 외부 환경도 일기를 통해 상호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는 향후 자신의 생명이 곧 우주적 생명이라는 자각과 더불어 생명을 어떻게 온전히 보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을 갖게 한다.

This paper aims to seek a path to essential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Donguibogam by examining the holistic view of life contained in Donguibogam, focusing on the idea of‘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thought(天人相應思想)’.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ideological origin and meaning of the idea of ‘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thought’, and examines how the idea of ‘correspo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thought’, was accepted and developed in Donguibogam. In the Donguibogam, it is emphasized that human life, which originates from qi, has a form that resembles nature and operates along with all th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that in order to maintain health and prevent disease, the body must be governed by harmonizing and complying with the laws of nature. In addition, it explains the dynamic corresponding structure of nature and human through the movement of yin-yang and exhaustion of qi. As such, the holistic view of life in the Donguibogam based on the idea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man, that is, the understanding that not only each organ of the body but also the body and mind, and the bod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re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one-qi(一氣), will give us insight into how to fully preserve life along with the realization that our own life is cosmic lif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n ecological life culture that respects the diversity of humanity and life and practices coexistence in the future.

1. 들어가는 말

2. 『동의보감』과 천인상응사상의 개요

3. 『동의보감』에서 천인상응사상의 수용과 전개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