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소설가 윤흥길이 한국전쟁과 얽힌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소설 쓰기와 소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한국 현대사의 다기한 흐름과 그 삶의 궤적을 함께해 온 작가는 직간접적으로 수용한 역사적 체험을 소재로 삼아 소설을 쓴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격동의 시대가 우리 공동체에 남긴 상처를 보듬고 치유하는 데 주력한다. 전쟁은 윤흥길에게 가난과 고난은 물론이고 죽음과 상실의 상처를 남겼다. 그러나 작가는 그때의 슬픔과 분노, 죄책감과 상실감을 외면하거나 은폐하지 않는다. 오히려「양」, 「장마」등의 소설을 쓰며 그 트라우마와 직면하고 털어놓음으로써 치유를 향해 나아간다. 말하자면, 그에게 있어서 소설 쓰기 그 자체가 치유의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소설 작품을 통해 우리 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상처를 치유하고자 노력하는데,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낫』을 꼽을 수 있다. 작가는 단순히 역사적 상처를 나열하거나 섣불리 피해자와 가해자를 단정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 공동체가 여전히 마주하고 있는 그 상처를 어떻게 보듬고 치유해야 하는지 고민하도록 계기를 제공한다. 그 핵심에 ‘화해’가 있다. 윤흥길의 소설은 상처치유 과정에 대한 기록이자, 우리 공동체가 지닌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처방의 기록이다. 이 글은 그것을 포착하고 소개하는데 집중하였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novelist Yun Heunggil is using novels to heal the trauma of the Korean War. The writer, who has shared the multi-period flow of modern Korean history and the trajectory of his life, writes novels based on historical experiences that he has accept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his written works, we will focus on healing with the wounds turbulent times have left in our community. The war left Yun Heunggil with wounds of poverty and hardship, as well as death and loss. However, the writer does not turn his back on or hide the sadness, anger, guilt and loss of time. Rather, he writes novels such as “Sheep” and “The Rainy Season” and opens them up in the face of trauma, moving toward healing. In other words, writing a novel itself can be seen as a healing process for him. In addition, we try to heal the wounds shared by our community through novel works, and we can cite Sickle as a representative work. The writer does not simply list historical wounds or misjudge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pl; he rath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how to heal the wounds our community is still facing. At the heart of this is: reconciliation. Yun Heunggil's novel is a record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and a prescription record for trauma healing in our community. This sentence focused on capturing and introducing themthe.
1. 들어가는 말
2. ‘직면하기’와 ‘털어놓기’를 통한 치유의 과정
3. 역사적 상처 치유를 위한 ‘화해’의 주선
4. 나오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