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세계문화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17세기 한·중 서예문화 교류 연구 - 사행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ultural Exchange of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in the 17th Century: Focusing on Envoys

DOI : 10.32961/jwhc.2023.12.69.73
  • 2

본 연구는 17세기 조선과 명 · 청의 서예문화 교류의 내용과 의의를 사행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류 내용을 검토한 결과 ‘문방사우 교환’, ‘서예작품 교환’, ‘서예작품 감상’, ‘서예작품 매매’ 네 가지 형식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 내용을 토대로 세 가지 의의로 ‘대외관계와의 연관성’, ‘조선 서예문화의 대외적 위상’, ‘조선 서예문화 영향’을 도출하였다. 조선은 명 · 청 사행을 통해 서예문화 교류를 행하였으며 유입된 새로운 서예문물은 조선 서예문화 흐름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교류 내용과 관련 유물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예 교류의 내용과 의의를 밝히는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cultural exchanges in calligraphy between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ocusing on Envoys. Through a review of the exchange content, four forms were identified: ‘exchange of literati networks’, ‘exchange of calligraphy works’, ‘appreciation of calligraphy works’, and ‘sale of calligraphy works.’ Based on these exchange activities, three significances were derived: ‘relevance to external relations’, ‘external status of Joseon's calligraphy culture’, and ‘influence on Joseon's calligraphy culture.’ Joseon engaged in calligraphy cultural exchanges with the Ming and Qing through Envoys, and the influx of new calligraphy materials had both significant and subtle impacts on the flow of Joseon's calligraphy culture. Furthermore, it is noted that the materials related to these exchang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For these reasons, ongoing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to elucidate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calligraphy exchanges.

Ⅰ. 들어가는 말

Ⅱ. 서예문화 교류 내용

Ⅲ. 서예문화 교류 의의

Ⅳ.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