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n Alternative Analysis of Passive Constructions in English: A Backup Approach

  • 17
영미연구 제62집.jpg

본 연구는 학교 문법의 수동태(passivization) 규칙을 재평가하고, 수동 구조에 대한 대안적 분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통적인 학교 문법은 주어(Subject)와 동사(Verb)와 같은 기본 문장 요소를 중심으로 문장을 분석하며, 수동화를 여섯 가지 규칙에 따라 설명한다: (1) be + pp, (2) will + be + pp, (3) be + being + pp, (4) have + been + pp, (5) will + have + been + pp, (6) had + been + pp. 본 연구는 이에 대안이 되는 문법적 구조로서 생성문법의 Comp, Tense, Neg, Link, Aspect, Predicate의 여섯 가지 기본 요소를 소개한다. 이러한 대안적 이론은 수동태를 보충(backup) 접근법을 통해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능동태 문장이 수동태 문장으로 변환될 때, 정보의 일부가 손실되는데, 수동태 문장은 이 손실을 Tense, Link, 혹은 Aspect에서 보충하는 절차를 통하여 이를 보상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대안적 이론은 수동태 분석에 있어 세 가지 측면에서 우수성을 보인다. 첫째, 전통적 학교 문법의 수동태 규칙에 의존하지 않는다. 둘째, 학교 문법에서 요구되는 암기 부담을 줄인다. 셋째, 보충 접근법을 통해 수동태를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rules of passivization in school grammar and offer an alternative analysis of passive constructions using a backup approach. Traditional school grammar analyzes sentences based on basic elements such as Subject and Verb, employing six passivization rules: (1) be + pp, (2) will + be + pp, (3) be + being + pp, (4) have + been + pp, (5) will + have + been + pp, and (6) had + been + pp.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syntactic structure consisting of six fundamental elements: Comp, Tense, Neg, Link, Aspect, and Predicate. This framework allows for the analysis of passive constructions through a backup approach. When active voice sentences are transformed into passive voice, they lose grammatical information. The passive voice compensates for this loss by incorporating backup in Tense, Link, or Aspect. The alternative framework offers a better analysis of passivization in three respects. Firstly, it does not rely on the traditional passivization rules. Secondly, it eliminates the need for rote memorization associated with traditional grammar. Thirdly, it provides a principled account of passivization using a backup approach.

1. Introduction

2. The Rule-Based Approach to Passivization in School Grammar

3. Predicate-Based Sentence Structures in Generative Grammar

4. Application of Predicate-Based Sentence Structures to Passives

5. Conclusions

Works Cit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