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판소리 열두 마당 중 하나로 전해지던 <강릉매화타령>의 주제는 ‘색골’ 골생원을 징계함으로써 색탐을 경계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골생원에대한 징계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고, 이에 따른 인물들 간의 관계도 느슨하여, 주제에 따른 서사 구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작품이다. 이는 <강릉매화타령>이 더 이상 판소리로 명맥을 유지하지 못한 이유와도 연관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강릉매화타령> 이 판소리로서의 특징을 잃어버리게 된 이유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강릉매화타령>의 사건 전개 과정에서 인물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판소리의 축제적 성격에 입각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강릉매화타령>은 전형적인 판소리가 추구하는 자유와 평등의 구현보다, 주인공인 골생원을 일방적으로 격하하고 조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강릉매화타령>은 판소리의 심미적 양식인 기괴적 사실주의의 핵심 원리인 격하의 원리, 물질 내지 육체의 원리, 그리고 유쾌한 상대성의 원리를 구현하지 못하고, 인물들 간의 평등한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서 판소리의 본래적 성격인 축제성을 잃어버렸다. 골생원은 작품 내에서 일방적으로 격하되며 그에게 부여된 차별은 판소리의 웃음을 바탕으로 한 평등의 원칙을 위반한다. 또한, 사또의 권위적인 명령과 웃음의 통제는 축제의 본질적인 자유로움을 억압하며, 작품을 단성적인 공간으로 만든다. 이러한 반축제적 구조는 <강릉매화타령>이 더 이상 판소리로서의 명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 주요 원인이다. 그 결과 경직된 주제 의식 가운데, 성과 관련된 육체의 이미지로부터 오는 재미만 추구하는 작품으로 남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강릉매화타령>은 판소리의 기본적인 미적 특질을 상실하게 되었다.
<Gangneung Maehwa-Taryeong>, one of the twelve renowned Pansori performances from the 19th century, has been known as a work that warns against sexual indulgence by punishing the character Golsaengwon, who is obsessed with sexual desire. However, the purpose of Golsaengwon’s punishment remains unclear.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volved in the deception are loosely constructed, which raises questions about the narrative structure aligned with the theme.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explore why this work eventually loses its identity as a Pansori.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within the narrative progression of <Gangneung Maehwa-Taryeong>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estive nature of Pansori. Unlike traditional Pansori, which aims to realize the ideals of freedom and equality, <Gangneung Maehwa-Taryeong> focuses on the unilateral degradation and ridicule of the protagonist, Golsaengwon. This work fails to embody the core principles of grotesque realism in Pansori's aesthetic style, such as degradation, materiality or corporeality, and joyful relativity. It also fails to establish equal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ultimately losing its inherently festive nature. In the narrative, Golsaengwon is subjected to one-sided degradation, and the discrimination imposed upon him violates the egalitarian principles underlying laughter in Pansori. Moreover, the governor’s authoritative commands and the suppression of laughter repress the essential freedom of the festival, reducing the work to a monophonic space. This anti-festive structur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Gangneung Maehwa-Taryeong> losing its identity as a Pansori, leaving it as a work skewed toward the pursuit of pleasure derived solely from the sexualized corporeal imagery. Consequently, <Gangneung Maehwa-Taryeong> lost the fundamental aesthetic qualities of Pansori.
1. 서론
2. <강릉매화타령>의 반축제적 구조
3. <강릉매화타령>의 反축제성
4. <강릉매화타령>의 단성성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