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희연’의 공연 문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문희연’의 의의를 설명하고, 판소리 등장 전후의 공연 형태를 분석하여, 원형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활용 방향을 제안한다. 첫째, ‘문희연’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이다. ‘문희연’(聞喜宴)은 고려시대 과거 급제자에게 부모가 베푸는 축하 연희를 의미한다. 과거제도 시행 기간 동안, 약 1000여 년 동안 지속된이 행사에서는 다양한 공연이 펼쳐졌다. ‘문희연’은 과거급제자들의 자축 연희로 가장 성대한 행사였으며, 광대들이 성장할 수 있는 공연 예술의 기틀이 되었다. 둘째, 판소리 성행 전후의 공연 형태의 변화이다. 고려시대에는 ‘우희’라는 화극의일종과 ‘영산’이라는 고유 장르의 노래가 성행했으며, 줄타기, 가면춤, 검무, 땅재주등 다양한 연희가 함께 진행되었다. 판소리의 급성장 이후, ‘문희연’의 공연 형태는판소리와 함께 영산, 땅재주, 검무, 줄타기 등 놀이 광대의 연희 영역까지 포함하게되었다. 셋째, ‘문희연’의 시대적 변모와 활용 가능성이다. ‘문희연’의 공연형태는 화극 및 재담소리에서 판소리로 변화하였으며, 시대적 및 지역적 요소가 가미되어 재창조되었다. 원형성과 잠재성에 기반하여, 다양한 문화 재배치와 창조를 통해 ‘문희연’이 현대 지역문화 콘텐츠로서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며 대중화와 지역 활성화,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문희연’ 공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현대문화 콘텐츠로 재구성하고 지역문화 발전과 경제적 가치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presents foundational research on utilizing 'Munheeyeon' performance culture as cultural content. It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Munheeyeon' and analyzes the performance forms before and after the rise of pansori, proposing desirable directions for leveraging its original form. The key points are as follows: Defin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Munheeyeon': 'Munheeyeon' (聞喜宴) refers to a celebratory performance hosted by parents for a successful candidate in the Goryeo Dynasty's civil service examination. This event, lasting approximately 1000 years during the examination system’s operation, featured various performances. 'Munheeyeon' was the most elaborate event for celebrating successful candidates and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growth of performers (gwangdae) in the performing arts. Performance Forms Before and After the Rise of Pansori: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formances such as ‘Uhui’ (a type of drama), ‘Yeongsan’ (a traditional genre of song), tightrope walking, mask dances, sword dances, and acrobatics were popular. With the rise of pansori, ''Munheeyeon' performances expanded to include pansori along with traditional performances like Yeongsan, acrobatics, mask dances, tightrope walking, and more. Historical Transformation and Utilization Potential of 'Munhyeon': The performance form of 'Munheeyeon' transformed from drama and storytelling to pansori, incorporating regional and temporal elements. Based on its originality and potential,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various cultural reconfigurations and innovations to enhance ''Munheeyeon' as a contemporary regional cultural content. This can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regional activation, and economic value creation. The research aims to reframe 'Munheeyeon' performance culture as modern cultural content and explore its potential for contributing to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and economic value.
1. 서론
2. ‘문희연’의 의의
3. ‘문희연’의 공연 형태
4. ‘문희연’ 공연문화를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확장 가능성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