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1660-1725)와 지오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1710-1736)는 각각 1724년과 1736년에 《스타바트 마테르》를 작곡하였다. 일반적으로 페르골레지의 작품은 스카를 라티의 곡을 대체하기 위해 위촉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두 작품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두 작품의 독특함을 분석하며, 각 작품이 고유한 통일성을 지니고 있음을 주장한다. 스카를라티의 작품은 실내 칸타타 양식을 바탕으로 한 엄격한 통일성을, 페르 골레지의 작품은 다양함 속에 숨겨진 통일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스카를라 티의 작품에서는 가사 처리, 리듬과 선율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페르골레지의 곡에서는 조성의 배치, 동기 사용, 주제 선율의 유사성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스카를라티의 작품 이 페르골레지에게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Alessandro Scarlatti (1660-1725) and Giovanni Battista Pergolesi (1710-1736) composed Stabat Mater in 1724 and 1736, respectively. Whil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Pergolesi’s work was commissioned to replace Scarlatti’s piec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s the distinctiveness of both compositions, arguing that each has its own unity. Scarlatti’s work demonstrates a strict unity based on the chamber cantata style, while Pergolesi’s piece exhibits a hidden unity within its diversity. To support this, the study examines Scarlatti’s treatment of the text, as well as the rhythmic and melodic characteristics. In Pergolesi’s composition, it explores the arrangement of tonality, the use of motifs, and the similarities in thematic melodies to reveal the unity within its diversity. Based on these analyses, the study also considers the influence of Scarlatti’s work on Pergoles.
1. 들어가며
2. 가사의 특징과 작품의 구성
3. 스카를라티의 가사 처리 방식
4. 스카를라티의 음악적 통일성
5. 페르골레지의 음악적 통일성
6.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