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음악형식에 대한 알고리즘을 순서도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그 흐름을 시각 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순서도에서 사용되는 기호에 대한 설명과 음악형식에 서 필요한 내용을 처리하기 위한 기입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어 제3장에서는 고전주의 기악곡에 서 등장하는 형식들, 즉 센텐스(sentence)와 악절(period) 등의 주제형식을 시작으로, 2부분/3부 분형식(binary/ternary form), 론도형식(rondo form), 그리고 소나타형식(sonata form)까지의 알고리즘을 순서도로 구현하였다. 또한, 원형(prototype)의 순서도를 실제 악곡의 순서도와 비 교해 봄으로써 실제 음악이 표준화된 형식의 순서도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형식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반복”과 “대조”, 그리고 “계층구조”의 개념을 순 서도에 반영하였으며, 그 구조가 한눈에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분석 표기나 방식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uitively visualize the algorithms of musical forms using flowcharts as a tool. Chapter 2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symbols used in flowcharts and how to enter the necessary content for musical forms. Chapter 3 implements the algorithms of various forms found in classical instrumental music using flowcharts, starting with thematic forms such as sentence and period, binary/ternary form, rondo form, and sonata form. In addition, by comparing prototype flowcharts with those of actual compositions, the study explores how the music differs from standardized forms. This paper reflects the concepts of “repetition,” “contrast,” and “hierarchical structure,” which are important in musical form, into the flowcharts. The flowcharts, by presenting the structure at a glance, can effectively complement traditional analysis notations and methods.
1. 들어가는 글
2. 순서도의 기호와 구조
3. 순서도를 통한 음악형식 설계도
4. 나가는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