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제2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에 내재한 시대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times inherent in the drama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Family”

DOI : 10.55793/jkhc.2024.22.403
  • 133

본 연구는 TV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을 분석하여 그 서사 구조와 사회적 의미를 탐구한다. <재벌집 막내아들>은 환몽 구조를 통해 서사가 전개되며, 이는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계층적 고착화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드라마는 흙수저와 금수저로 상징되는 계층 차이를 중심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층 이동의 어려움과 불공정한 사회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환몽 구조는 특히 한국 사회의 수저계급론과 연결되어 있으며, 현실에서 불가능한 계층 상승을 판타지적으로 해소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그러나 작품은 궁극적으로 법치주의와 윤현우의 참회를 통해 정의 실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현실 세계에서 가능한 해결책으로 법적 징치를 제안한다. 작품의 서사 구조는 판타지와 현실을 넘나들며,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계층 문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시청자들에게 일종의 감정적 해방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현실적 성찰을 요구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TV drama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Family” and explores its narrative structure and social meaning. The drama unfolds through a fantastical narrative structure that symbolically highlights inequality and the rigidity of hierarchical structures in modern Korean society. It reflects the challenges of social mobility and the unfair social structures in a capitalist system, centering on the class difference symbolized by the “dirt spoon” and “gold spoon.” The fantasy structure is particularly tied to the “spoon class theory” in Korean society, functioning as a device that imaginatively addresses the otherwise impossible rise in social class. However, the drama ultimately offers a path toward the realization of justice through the rule of law and Yoon Hyun-woo's repentance, proposing legal accountability as a possible solution in the real worl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Youngest Son of a Chaebol Family” navigates between fantasy and reality, symbolically expressing the issues of inequality and class in contemporary Korea, providing viewers with a sense of emotional catharsis while also encouraging realistic reflection.

1. 머리말

2. 재벌과 빈민, 계층의 역학

3. 환몽 서사와 자본 권력의 전복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