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퇴계 이황의 사주 분석을 통해, 그의 학문적 성취와 성격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퇴계의 사상은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학문적 업적과 도덕적 지도력은 오늘날까지 많은 이들에게 모범이 되고 있다. 퇴계의 일간은 기토(己土)이며, 격국(格局)은 식신격(食神格)이다. 식신격의 지적 호기심이 그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하고 있으며, 병화(丙火)와 갑목(甲木) 대운은 그의 대외적 성취와 맞물려 있다. 퇴계에 대한 명리학적 접근은 그의 섬세한 성격과 교육 철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퇴계의 삶과 학문적 성취는 그의 탁월한 지혜와 노력뿐만 아니라, 사주와 운세의 흐름이 만들어 낸 중요한 전환점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egye Yi Hwang's academic achievements and personality traits through an analysis of his Four Pillars of Destiny (Sa-ju). Toegye's philosophy played a critical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his scholarly achievements and moral leadership continue to serve as a model for many today. Toegye's Day Master is Ji-earth (己土), and his Geokguk (格局) is classified as Sigsin-gyeok (食神格). The intellectual curiosity inherent in Sigsin-gyeok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his success, while the Daewoon periods of Byeong-fire (丙火) and Gap-wood (甲木) are closely related to his external accomplishments. A Four Pillars of Destiny approach to Toegye provides key insights into his delicate personality and educational philosophy. Therefore, Toegye’s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s are closely intertwined not only with his remarkable wisdom and efforts but also with the key turning points shaped by his destiny and the flow of his fortune.
1. 서론
2. 퇴계의 학문 세계와 삶
3. 퇴계 이황의 사주 분석
4. 퇴계의 생애를 통해 본 대운과 세운의 작용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