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라가극단은 설의식, 서항석, 안기영이 힘을 합쳐 설립한 극단으로, 극단의 전신은 콜롬비아악극단이었다. 설의식은 말과 글을 억압하는 일제의 정책에 문화적으로 대항하기 위하여 토착 가극단을 설립하기로 결심했고, 이를 위해 콜롬비아레코드사와 제휴하여 그 산하에 악극단을 조직했다. 그리고 그는 조선예흥사를 조직하여 작품 구상과 극단 운영을 주도했고, 과거 동료였던 서항석에게 작품 구성과 공연 연출을 일임했다. 또한 안기영은 가극에 필요한 음악을 구성하고 이를 가극 작품에 부여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러한 일련의 노력으로 라미라가극단이 탄생할 수 있었다. 라미라가극단은 1941년 12월 〈콩쥐팥쥐〉와 〈견우직녀〉를 부민관에서 공연하면서, 공식적으로 창립 공연을 개최했다. 이후 두 작품과 〈은하수〉는 라미라가극단의 대표작으로 부상하며 향토가극의 전형화된 사례로 기억된다. 이 연구에서는 라미라가극단의 설립 과정과 그 기원, 그리고 대표 공연과 그 미학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토착 가극단을 지향했던 1940년대 한국(조선) 연극계의 상황을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의를 논구하고자 한다.
Ramiraga Opera Troupe(Ramira Gageukdan) was founded by Seo Uisik, Seo Hangseok, and An Giyeong, and its predecessor was the Columbia Musical Troupe(Columbia Akgeukdan). Seor Uisik decided to establish an indigenous opera troupe in order to culturally oppose the Japanese policy of suppressing speech and writing, and for this purpose, he formed Columbia Musical Troupe(Columbia Akgeukdan) under Columbia Record Company in partnership with Columbia Record Company. And he organized Joseonyeheungsa and took the lead in planning the works and operating the theater company, and entrusted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and performance direction to his former colleague Seo Hangseok. In addition, An Giyeong was in charge of composing the music necessary for the opera and assigning it to Korean opera work. These series of efforts led to the birth of the Ramira Gageukdan. Ramira Gageukdan officially held its inaugural performance in December 1941, performing 〈Kongjwipatjwi〉 and 〈Gyeonujingnyeo〉 at Bumingwan. ince then, the two works and 〈Galaxy〉 have emerged as representative works of Ramiraga Opera Troupe(Ramira Gageukdan) and are remembered as typical examples of ‘Korean local oper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unding process and origins of Ramira Gageukdan, as well as its representative performanc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Ultimate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Korean theater world in the 1940s, which was oriented toward indigenous theater troupes, and to discus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Ⅰ. 라미라가극단의 극단사 위치와 위상에 대한 문제 제기
Ⅱ. 라미라가극단의 출범과 인적 구성
Ⅲ. 1940년대 전반기 라미라가극단의 활동
Ⅳ. 라미라가극단(콜롬비아악극단) 1940년대 전반기 공연 작품의 특성
Ⅴ. 라미라가극단의 설립 과정과 역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