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악원논문집 제50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 소재 당악정재(唐樂呈才)에 나타나는 채련곡(採蓮曲) 공연 요소 고찰

A Study of Performance Elements of “Cailian qu” Presented in Dangakjeongjae

DOI : 10.29028/JNGC.2024.50.105
  • 6

본 연구는 『고려사·악지』 소재 당악정재에 나타나는 채련곡 공연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채련곡은 원래 연을 따며 부르는 노래로서 남녀유희의 풍습이 수반되었는데, 남조 이후 궁중 가무 공연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채련곡 공연은 당송(唐宋) 교방(敎坊)에서 더욱 다양한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중당(中唐)의 운소악(雲韶樂) 악무는 채련의 선동이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를 추는 서왕모(西王母) 무리를 이끌었고, 오대 서촉(西蜀)의 절홍련대(折紅蓮隊)는 봉래산에서 내려온 선녀 무리가 연꽃을 따며 가무를 헌정하였다. 또 송대는 북송 교방 대무(隊舞) 채련대(採蓮隊)와 남송 대무 채련무(採蓮舞) 등 악무의 면모가 더욱 강화되었다. 『고려사·악지』 소재 당악정재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의 다섯 작품을 가리킨다. 이중 「연화대」는 조선 후기 이익(李瀷)이 채련곡에서 연유한 공연에 불과하다고 했는데, 이는 공연 면에서 「헌선도」, 「수연장」, 「오양선」과 연관된다. 따라서 당악정재의 네 작품에 채련곡의 면모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다음 세 측면에서 채련곡 공연 요소를 찾아보았다. 첫째, 서왕모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중당 운소악은 채련과 서왕모를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서왕모가 등장하여 채련녀처럼 축수나 헌정의 말을 바친다. 둘째, 여성 공연자에 의한 축수와 헌정을 들 수 있다. 여성 공연자는 가창을 통해 축수나 헌정의 말을 전하는데, 이는 남조 채련곡 공연의 면모이다. 셋째, 축수와 헌정이 절차로 정해졌다는 것이다. 당악정재에서 축수와 헌정은 입장, 중간 도입부(가창), 퇴장 장면에서 3차례 행해진다. 이중 중간 도입부의 가창은 가무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데, 이는 남송 「채련무」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는 송 대무의 한 절차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당악정재의 네 작품은 채련곡 공연 요소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rgues that dangakjeongjae (Chinese court festive dance) recorded in akji (music articles) of Goryeosa (高麗史) used performance elements of “Cailian Qu” (採蓮曲). “Cailian Qu” (lit. a song of picking lotus) transformed into a court song and dance performance after the Southern Dynasties. This performance took on even more diverse aspects through the Tang and Song Dynasties. “Yunshao yue” (雲韶樂) in the mid-Tang period was made by combining “Cailian Qu” with “NichangYuyi” (霓裳羽衣); a lotus-picking woman leads ‘Xi Wangmu’ (西王母) who dances “NichangYuyi”. The performance of “ZheHonglianDui” (折紅蓮隊) in the Five Dynasties features many beautiful fairies from the ‘Penglai Mountain’ (蓬萊山) who come to pick lotus flowers and then present song and dance. In this way, the image of fairies in “Cailian Qu” had been reinforced after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Dangakjeongjae presented in Goryeosa includes three elements of the “Cailian Qu” performance. First, ‘Xi Wangmu’ appears during the performance, which is the influence of the performance of “Yunshao yue”. Second, a female performer mentions congratulatory and eulogistic remarks toward a king. This is not because the performance group is composed of all women, but because it is a tradition of “Cailian Qu” performance. Third, congratulatory and eulogistic remarks were established as procedures--in the entrance, middle, and exit scenes. Among them, the singing in the middle introduction announces the start of the dance performance, which is also seen in the ‘duiwu (隊舞)’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erformance elements of “Cailian Qu” appear in dangakjeongjae

Ⅰ. 들어가며

Ⅱ. 당악정재와 채련곡 공연과의 관계

Ⅲ. 당악정재의 채련곡 공연 요소

Ⅳ.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