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 판소리에서 영향력이 크고 판소리 악조론의 논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김세종제 〈춘향가〉를 대상으로 평조와 우조의 성질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간단히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김세종제 〈춘향가〉에서 평조와 우조는 기존의 통념과 달리 선법적 복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평조는 기본적으로 sol-la-do-re-mi로 된 악조이면서 동주음 변조와 동음렬 변조의 결과로 re-mi-sol-la-do(sol-la-do-re-fa)가 섞임에 따라, sol-la-do-re-mi(fa)의 형태를 취하였다. 이것은 선법적 복합성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이로부터 기존에 알려진 평조의 성질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평조가 동일 계열끼리 섞인 것이라면, 우조는 상반된 계열에 속하는 평조와 혼효(混淆)를 보인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즉, 우조는 la-do-re-mi-sol을 기본형으로 하면서 동음렬 변조를 통해 평조의 선율형, 안정음, 골격음을 공유하였다. 특히 속도가 빠른 휘모리에서 우조는 평조와의 혼효가 더욱 심하여 둘은 마치 하나의 선법처럼 얽혀있었다. 그런 측면에서 우조의 선법적 복합성은 양식적 모호함으로 귀결된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평조와 우조의 선법적 복합성은 김세종제 〈춘향가〉의 양식적 특징으로 한정되는 것이지만, 판소리 악조론 연구에 고려해 볼만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 중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기존의 판소리 악조 연구에서 나타난 여러 이견들이 평조와 우조의 선법적 복합성으로 수렴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modes--pyeongjo and ujo--in the Kim Sejong version of Chunhyangga, a work that holds significant influence in modern pansori (epic story-telling and singing) and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iscussion of pansori's musical mode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In contrast to conventional beliefs, it was found that pyeongjo and ujo in the Kim Sejong version of Chunhyangga possess modal complexity. Pyeongjo, primarily based on the scale of sol-la-do-re-mi, also incorporates re-mi-sol-la-do (sol-la-do-re-fa) through modulation of variable tones and homophonic rows, taking on the form of sol-la-do-re-mi(fa). This suggests that pyeongjo is a complex system where multiple modes converge, thereby necessitating a reexamination of the previously understood nature of pyeongjo. As opposed to pyeongjo that blends elements within the same modal family, ujo is distinctive in its fusion with the contrasting pyeongjo. Ujo, fundamentally la-do-re-mi-sol, shares melodic forms, stable tones, and structural tones with pyeongjo through homophonic modulation. This results in the infusion of pyeongjo's characteristics into ujo, particularly in faster tempos like huimori, where the blending becomes so intense that ujo and pyeongjo appear intertwined as a single mode. Therefore, the modal complexity of ujo leads to a stylistic ambiguity. While the modal complexity of pyeongjo and ujo revealed in this study is specific to the Kim Sejong version of Chunhyangga, it provides insights worth considering in the broader discourse on pansori's musical modes. Notably, the various differing opinions in existing pansori mode studies may ultimately converge on the modal complexity of pyeongjo and ujo.
Ⅰ. 머리말
Ⅱ. 평조의 성질
Ⅲ. 우조의 성질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