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발전교육과 연계한 민요 지도방안 - 위도 가래소리의 가사에 담긴 생태관 탐구를 중심으로
A Teaching Method for Folk Songs Link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Focus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 in the Lyrics of Wido Island’s “Garaesori”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일환으로 민요에 담긴 생태관의 가치를 탐구할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모색했다. 구비문학인 민요에는 자연 친화적 삶을 살았던 조상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특히, 한 곡의 민요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사를 문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해 보면 자연에 관해 가졌던 관점을 폭넓게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중 생태환경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악곡으로 ‘가래소리’를 선정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어업요인 ‘가래소리’는 “위도띠뱃놀이”에서 풍어와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에서도 쓰이므로 자연 속에서의 다양한 정서를 파악할 수 있다. 민요에 담긴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가지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자 했던 조상의 생태관을 체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필두로 민요에 담긴 생태관을 지도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서 지속가능발전에 공감하고 자연 친화적 삶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 여건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for a teaching method to explore the value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 contained in Korean folk songs as par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Korean folk songs, as an oral literature, reflect that Koreans in the past lived a life in harmony with nature. In particular, analyzing the lyrics presented in a single folk song from a literary perspective, we can broadly examine various perspectives on nature. Therefore, among the folk song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Garaesori” has been selected as a piece directly relat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n suggested for educational use. “Garaesori”, a fishery song, used to be performed in the ritual called Wido-ttibaennori to pray for a good catch and well-being, so it helps understand what kind of ideas ancestors had about nature.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contained in folk songs, we would be able to acquire the ecological view of the Koreans who wanted to live in harmony with nature with a sense of awe for nature. Starting with this study, I hope that the research that can guide the ecological view contained in folk songs will continue to create educational conditions that one can sympathize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actice a life friendly to nature.
Ⅰ. 머리말
Ⅱ.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민요 악곡 선정
Ⅲ. 교과서 분석 및 가래소리에 담긴 생태적 가치 탐구
Ⅳ. 가래소리에 담긴 생태관의 교육적 활용 방안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