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경제 범패 안채비소리 ‘개탁성’의 음악적 특징과 기능을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탁성’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갈래별 대표성을 지닌 홑소리 두 곡과 안채비소리 유치성·착어성·편게성 각 한 곡씩을 선정하여 총 5곡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 악곡의 공통된 음악적 특징은 혼소박 불규칙 박자의 자유리듬이며, 미(mi) 또는 라(la)로 종지하는 메나리토리였다. 가사붙임새는 총 네 가지 방식이 번갈아 엇갈리게 교차하며 짜여있는데, 방식은 ‘①일자다음형, ②일자일음+일자다음, ③일자일음형, ④일자일음+일자다음+일자다음’이며, 편게성은 ②와 ③ 두 유형만 관찰된다. 특히 선율적 특징은 ③일자일음형 구조에서 발견되며, ‘라’를 중심으로 미, 라, 도 3음을 위주로 부르거나 한 음을 지속적으로 부르기에 선율이 비교적 단조롭다. 때문에 일자일음형의 선율 형태는 ①·②·④에 비해 선율의 활동성이 적고 음역 역시 좁은 편이지만, 창자의 역량에 따라 음역 확장과 더불어 활발한 선율 형태가 유치성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대상 악곡의 차별적인 음악적 특징은 먼저 문학 형식에 있으며, 〈복청게〉는 운문체,〈영산개계〉·〈유치〉·〈착어〉·〈수의안좌〉는 산문체로 문체가 각기 달랐다. 빠르기는 대부분 한 박 기준 약 35-50 미만으로 느리게 시작되지만, 〈후착어〉는 이 보다 빠른 약 75-80으로 시작한다. 홑소리의 음역은 단10도로 한 옥타브 이상의 넓은 음역을, 유치성은 완전8도의 음역을, 착어성과 편게성은 단6도 즉, 한 옥타브 미만의 음역을 활용했다. 그동안 학계나 범패 전승인들 사이에서 개탁성은 “충충히” 읽거나 “쓸어버리는 소리”로 강조되어 왔다. 그 결과 개탁성의 부분적 특징이 ‘성(聲)’ 전체의 본질로 파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논의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충충히” 읽거나 “쓸어버리는 소리”는 일자일음형의 단순한 선율형태의 가창방식에 한정된 것일 뿐, 개탁성은 일자일음형 외에 여러 가창방식이 함께 존재하면서 ‘성’의 특성을 드러낸다. 때문에 개탁성은 다양한 음악적 구조와 형식(짜임새)을 갖춘 ‘성’이라 하겠다. 또 가사가 매우 긴 〈영산개계〉의 경우, 두세 가지의 방식을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구현했던 것으로 파악되며, 개탁성의 가창 방식은 매우 유연하고 유동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탁성은 네 가지 방식이 서로 번갈아 엇갈리게 교차하며 짜여있기 때문에 범패 고유의 갈래별 음악의 특징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제한된 시간을 효과적으로 다루기에 매우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규모가 큰 재의식에서 유사 계통의 범패를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하거나 정해진 시간에 재의식을 마치기 어렵다는 판단이 들 때 범패 고유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원곡보다 연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개탁성의 음악적 기능은 한층 돋보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gaetakseong (開鐸聲), an anchaebisori of Gyeongje beompae (Buddhist chant). Since musical features of gaetakseong, as opposed to other subgenres of beompae, are observed, not constrained by musical piece and ‘sori (sound)’ or ‘seong (聲 sou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different types of beompae in order to clarify the identity of gaetakseong.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and analyzes a total of five songs: two hotsori pieces that are non-anchaebisori among beompae, and three pieces that represent the other three anchaebisori, yuchiseong (由致聲), chakeoseong (着語聲), and pyeongeseong (徧界聲). The comm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 pieces include a free rhythm with asymmetrical, irregular beats and a melodic mode of menari-tori finishing in ‘mi’ or ‘la’. In the case of text setting, there are four different patterns shown in these songs: ① melismatic (multiple notes per syllable), ② homographic+melismatic, ③ homographic (one note per syllable), and ④ homographic+melismatic+melismatic.’ In pyeongeseong, however, only two patterns ② and ③ are observed. In particular, the common melod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pieces are found in the ③ homographic pattern; the melody is relatively monotonous because it is mainly composed of three notes 'mi', 'la', and 'do', centering on 'la', or it continuously repeats a single note.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melody in the ③ homographic pattern has less activity and a narrow range compared to the ①, ②, and ④ patterns, whereas more dynamic melodic patterns as well as an expanded range, depending on the singer's capability, appear in yuchiseong. The distinctive musical features of the five pieces are first in the literary form, with “Bokcheongge” written in verse, and “Yeongsan Gaegye”, “Yuchi”, “Chakeo”, and “Su-ui-an-jwa” written in prose, each showing with a different writing style. Regarding the tempo, most start slowly, around 35-50, while “Huchakeo” typically starts faster than that, around 75-80. In addition, the range of hotsori was the minor 10th, which is more than an octave while yuchiseong shows the perfect 8th and chakeoseong and pyeongeseong show the minor 6th, which are less than an octave. Gaetakseong has been emphasized as a sound of “reading blurry and darkly” or “sweeping away”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of beompae. As a result, the partial characteristics of the gaetakseong were identified as the essence of the overall ‘seong.’ However, a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sound of “reading blurry and darkly” or “sweeping away” is limited just to the simple melody-type singing style of the homographic pattern, and gaetakseong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seong’, showing that various singing styles other than the homographic pattern coexist.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gaetakseong is the ‘seong’ with various musical structures and forms.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Yeongsangaegye”, which has very long lyrics, is implemented by selectively using two or three singing styl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demonstrating that the singing style of gaetakseong is very flexible and fluid. Since gaetakseong is woven with four singing styles alternating and intersecting, it can be said to be a very suitable method for effectively handling limited time without significantly damag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of music unique to beompae. Therefore, in large-scale rituals, when similar genres of beompae are arrang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or it is judged difficult to finish the rituals within a set time, the musical function of gaetakseong, which can reduce the performance time compared to the original while sufficiently util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beompae, will stand out even more.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현황
Ⅲ. 개탁성의 음악적 분석과 특징
Ⅳ. 개탁성의 음악적 기능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