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7권 5호.jpg
SCOPUS 학술저널

광물자원 탐사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

Geochemical Approaches to Mineral Resources Exploration

DOI : 10.9719/EEG.2024.57.5.593
  • 41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지표에 노출된 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지하 깊은 곳에 존재하는 부존 광체를 탐사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동시에 탈탄소화 정책의 일환으로 친환경 에너지 자원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면서 희소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었다. 지구화학 탐사는 광상에서 유래된 특정 원소의 거동을 기반으로 하며, 많은 지질학적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자연수, 하천 퇴적물, 토양, 암석, 식생, 지오가스 등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관찰되는 광체 주변의 지시원소 농집 특성은 미확인 광체의 분포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광화작용 유형별 탐사에 활용될 수 있는 지시원소를 특정하고, 광체 주변에서의 원소 거동 특성에 기반한 체계적인 지구화학 탐사법 확립이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지구화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AI 기술을 적용한다면, 향후 광물 자원탐사에 도움이 될 것이다.

As surface resources are continually developed and deplet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explore deeper ore bodies. Simultaneously, global demand for eco-friendly energy sources increases due to decarbonization policies,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nations to secure critical mineral resources. Geochemical exploration is based on the behavior of specific elements derived from mineral deposits and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ideration of numerous geological variable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l concentration around ore bodies, which can be observed in media such as natural water, river sediments, soil, rock, vegetation, and geogas, provide clues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undiscovered ore bodies.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types of indicator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exploration depending on the mineralization type, and to establish a systematic geological explora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behavior of elements around mineralized ore bodies. Furthermore, applying Al technology to thes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would aid to exploration for critical mineral resources.

1. 서 론

2.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3. 광상 유형과 지구화학 탐사

4. 맺는말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