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앙고고연구 제4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앙아시아 불교유적의 분포현황과 의의

The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Buddhist remains in Central Asia

DOI : 10.20292/jcich.2024.45.91
  • 22

중앙아시아 불교유적은 우즈베키스탄 남부, 타지키스탄 남서부 일대의 박트리아-토하리스탄 북부 지방, 우즈베키스탄 동부 페르가나 지방과 중부 사마르칸트 일대의 소그디아나 지방, 투르크메니스탄 동부 메르브 지방, 키르기스스탄 북동부 세미레치예 지방 등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기원 전후부터 9~10세기까지가 해당된다. 박트리아-토하리스탄 북부 지방의 불교유적은 대부분 불교사원이지만, 주르말라 스투파, 아이르탐 스투파 등 별도의 건축물 없이 스투파만 잔존하는 경우도 확인되었다. 카라테파 불교사원, 파아즈테파 불교사원, 달베르진테파 도성 내외 불교사원 등은 2~4세기 쿠샨시대가 중심이며 모든 사원에서 스투파가 확인되었다. 세미레치예 지방은 박트리아-토하리스탄 지방에 이어 많은 불교 유적이 밀집한 곳으로 7세기 이후에는 중국 불교의 영향을, 더 늦은 시기에는 티벳 불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다. 세미레치예 지방에서는 스투파는 확인되지 않으며 아크베심 불교사원의 대형 불상, 아지나테파 불교사원의 대형 열반상 등이 확인되었다. 중앙아시아 불교유적은 시기별로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된다. 2~4세기를 중심으로 한 박트리아-토하리스탄 불교문화는 중앙아시아 전기 불교문화(1기)로 쿠샨 제국의 확장과 더불어 중앙아시아로 불교가 처음 전래되고 정착하여 발전한 시기이다. 7~8세기 박트리아-토하리스탄 지방과 세미레치예 지방이 중심이 된 중앙아시아 후기 불교문화(2기)는 인도 불교의 힌두화가 진행되어 불교의 중심지가 중국 등 동아시아로 옮겨가는 시기이다. 중앙아시아의 불교는 불과 관련된 의례의 흔적이나 화염불 벽화 등을 통해 이전에 전파되었던 조로아스터교 등 타종교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음이 확인되었다. 불교건축에서도 재지의 재료와 기후특징을 고려하여 건조벽돌의 사용, 사암층을 파고 들어간 석굴사원의 축조 등이 반영되어, 중앙아시아 지역이 문명의 전달자 역할뿐 아니라 문명을 수용하여 자체적으로 발전시켜 타지역으로 전파한 것임을 알 수 있다.

Buddhist remains in Central Asia are found in five regions: Bactria-Toharistan region in southern Uzbekistan and in southwestern Tajikistan, Fergana region in eastern Uzbekistan and Sogdiana region in central Samarkand, Merv region in eastern Turkmenistan, and Semirechiye region in north-eastern Kyrgyzstan. They are dated from around the 1st century to the 9th and 10th centuries. Most of the Buddhist remains in the northern part of Bactria-Toharistan region are Buddhist temples, but there are only stupas remained without temple buildings such as the Jurmala Stupa and Airtam Stupa. The Karatepa Buddhist Temple, the Fayaztepa Buddhist Temple, and the Buddhist Temples inside and outside the capital city Dalverzintepa are built on the Kushan period in the 2nd and 4th centuries and stupas are found in all these temples. Semirechiye is the region where Buddhist remains are clustered following Bactria-Toharistan region and was influenced by Chinese Buddhism after the 7th century and Tibetan Buddhism later. Not stupas but a large Buddha statue and a large statue of nirvana are found at Akbeshim Buddhist Temple and Ajinatepa Buddhist Temple, respectively, that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object of worship. The Buddhist remains of Central Asia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Bactria-Toharistan Buddhist culture from the 2nd to the 4th centuries was the first period of Buddhist culture in Central Asia, when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and settled in Central Asia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Kushan Empire. The late Buddhist culture of the Central Asia flourished in Bactria-Toharistan and Semirechiye regions in the 7th and 8th centuries was the second period, and the center of Buddhism moved to East Asia. It was confirmed that Buddhism in Central Asia was developed by exchanging influences with other religions, such as Zoroastrianism previously propagated through traces of rituals related to fire or murals in Buddha statue with a flame-shaped halo. In Buddhist architecture, the use of drying bricks and the construction of stone cave temple that dug into the sandstone layer are ref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and climat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Central Asia did not simply serve as a messenger of civilization, but rather accepted, developed, and spread it to other regions.

Ⅰ. 머리말

Ⅱ. 중앙아시아 불교유적 현황

Ⅲ. 중앙아시아 불교유적의 특징과 의의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