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19 개정 누리과정 현장지원자료의 디지털 시민성 분석: 디지털 놀이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n-site Support Data: Focusing on Digital Play Cases

  • 165
스크린샷 2025-04-29 134207.png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제작된 현장지원자료를 분석하여 유아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및 정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I-누리 포털 사이트의 ‘현장지원자료’ 중 유아의 디지털 놀이를 담고 있는 37개의 놀이사례를 UNESCO(2019)의 디지털 시민성 분류준거에 근거하여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주요 분석 대상인 디지털 놀이 사례에서 디지털 시민성 요소 중 유아들은 주로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콘텐츠를 활용하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가 강조되었다. 일부 놀이사례에서는 디지털 기기의 사용을 넘어, 온라인 상에서의 책임감, 윤리적 행동, 정보의 비판적 평가 등 디지털 시민성의 핵심 요소들이 다면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디지털 시민성 요소가 미미하게 드러난 놀이사례들도 존재하였는데 특히, ‘디지털 안전 및 탄력성’ 에 대한 사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이 디지털 세계에서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교육사례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n-site Support Data created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in early childhood. Methods To achieve this, 37 cases of young children's digital play, sourced from the ‘On-site Support Data’ on the I-Nuri portal site where national curriculum and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s ar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UNESCO's (2019) digital citizenship classification.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he digital play cases, which were the main focus of analysis, young children primarily demonstrated ‘digital literacy’ as a key component of digital citizenship. This emphasizes their ability to navigate and utilize content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In some play cases, key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such as responsible behavior, ethical conduct, and critical evaluation of information in online environments, were also observed.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were less evident, particularly with a lack of focus on ‘digital safety and resilience.’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aimed at helping young children grow to be responsible citizens in the digital worl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