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Evidence from the U.S. Workers Compensation Syste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유라시아연구
- 제7권 제2호
-
2010.061 - 13 (13 pages)
-
DOI : 10.31203/aepa.2010.7.2.001
- 0

본 연구의 목적은 종업원 참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제도가 실제 작업장의 산업안전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종업원 참여제도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산업재해 보험 안에서의 피보험자 재해 신고율과 기업의 산재관련 작업손실 일수에 따른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 있는 작업장의 안전환경과 관련된 종업원 참여적인 인적자원관리정책과 제도는 첫째,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종업원의 참여범위, 수준, 내용 등과, 둘째,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대한 종업원의 참여 범위와 수준, 그리고 셋째, 관리자의 산업안전 환경에 대한 관심 및 안전문화 관리노력과 작업장 안전환경에 관한 정보 공유의 수준 등으로 측정되었다. 최근 기업들은 글로벌 무한경쟁의 환경 안에서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구조조정, 업무프로세스 개선, 새로운 생산기술 도입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 구조적 변화는 대부분 성과중심의 새로운 인적자원제도의 도입과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변화관리의 성공성 여부야 말로 이 시대 기업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 고성과 지향적인 새로운 작업방식이 또 다른 테일러 주의의 등장일 수 있고 최근 늘어나는 과로사와 산업재해율 문제는 이른바 참여적 작업조직으로의 변화관리가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참여적 작업조직의 변화 주체인 종업원의 복리가 오히려 황폐화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참여적 작업조직관리를 위한 새로운 인적자원관리 제도의 작업장 안전관리에 미치는 효과와, 정보공유 및 조직의 산업안전 문화 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은 이 시대 기업조직 변화관리를 성공적으로 완성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연구자의 설문자료와 미국 노동성이 관리하고 있는 산업재해보험 자료의 결합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의 설문자료는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제도, 종업원 재무성과 참여제도, 작업장 안전문화, 정보공유 수준, 구조조정, 종업원 평균 근속년수, 생산기술 특성 등 주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작업조직 특성 변수, 작업장 재해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통제변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산업재해 보험 자료는 근로자 평균 산업 재해율, 근로자 평균 산업 재해관련 작업손실 일수, 그리고 재해당 작업손실 일수 등 산업재해발생 빈도율과 산업재해발생 강도율로 측정된 종속변수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인 121개 기업의 5,124명의 근로자 자료를 실증분석한 결과, 종업원의 의사결정참여제도, 종업원의 재무적 성과 참여제도, 그리고 조직의 안전문화관리 등은 작업장의 1인당 산업재해 발생율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의 재무적 성과 참여제도와 종업원 의사결정 참여의 수준 등은 작업장 산업재해 강도율(1인당 작업손실일수)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공유제도는 작업장 산업재해 강도율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통제변수의 효과를 살펴보면 노동조합 유무와 여성근로자 구성비율은 모두 작업장 산업재해 발생율을 낮추고,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기업일수록 근로자 1인당 산업재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대체로 종업원 참여제도가 적어도 산업재해 발생율 관련 긍정적적인 작업장 산업안전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산업재해 발생 강도율과 관련하여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특히 정보공유와 의사결정참여의 강도의 부정적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까지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여적 작업조직변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산업안전효과가 향후 더욱 면밀하게 분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참여적 인적자원관리 제도가 자본의 효율성 뿐만 아니라 당사자인 종업원의 복리 또한 아울러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관리되어야 그 지속적인 효과성이 담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산업재해보험제도 안에서 피보험자의 재해 신고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실제 작업장의 안전환경 개선으로 인한 순수한 안전효과와 피보험자의 보험사례 신고행위 등 보험제도안에서의 신고자료의 변화효과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dvanced strategy for planning stage of basic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side. At first,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t the developed country for example EU, US and Japan. In these leading countries, we can find that their various efforts are focusing to enlarge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convergence technology and to set themselves the leading and positioning commitment of global society. In this study, the achieved status and limit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is described, and then the advanced planning process of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reconstruction are suggested for maximization for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lanning proc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ontains the key process which decides on the success or fail of them such as, strategic goal and direction setting of R&D, key competenc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organizations, investigation of technical demand, searching and induc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s, the initial planning including the industry and patent analysis, project screening, and, project decision and budgeting. Also the basic research and development about technology convergence is important which stage is sprouting phase globally and influence effects on the industry and application areas can be propagated on the various territories. The major suggestion items of policy framework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re the preemption of the strategic convergence research areas and the enhancement for planning and searching/evaluation of research program. And these of convergence research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re consisted of research organization, research basement, and disciplinary education system. At the conclusion, these suggestions was summarized and discussed with expecting to adopt these results for policy making and consecutive study.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Framework
Ⅲ. Data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ding Remarks and Implications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