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국원소경의 공간 범위와 구성을 살피고 국원소경, 특히 중심지 바깥의공간에 살았던 주민의 신분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국원소경의 공간 범위를 밝히기 위해 조선 시기 지리서와 고지도 등을 포함하여 각종 문헌 기록과 금석문을 검토하였다. 국원소경의범위는 조선 시기 충주목의 범위와 거의 비슷하겠으나 몇몇 방면에서는 차이가 보였다. 특히청풍현과 음죽현과의 경계가 그러하였다. 대략 국원소경은 오늘날의 충주시와 음성군·괴산군 등의 일부를 포괄하였다. 국원소경의 공간 구성은 『三國史記 』 强首傳의 분석과 지금까지의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三國史記』 강수전에는 邑中과 釜谷이 대비되는 공간으로 제시되었다. 읍중은 소경의 중심지로 지금의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일대에 해당한다. 탑평리 유적에서는신라 시기 건물지와 취락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인근에는 누암리·하구암리 고분군이 위치한다. 부곡은 그 위치를 구체적으로 비정하기 어려우나, 국원소경의 직속 촌 내지는 하위 촌락으로 생각된다. 제철시설이 있었던 곳으로 소경의 중심지와 멀지 않으며 교통로로 연결되는곳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노은면과 대소원면 등에 7세기대 목탄요 유적이 위치하여 이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한다. 끝으로 부곡 야장의 사례를 통해 소경의 읍 외의 지역에 사는 원주민의 신분을 밝혀보았다. 신라에서는 장인에게 관등을 수여하여 주로 4·5두품으로 대우하였다. 제철산업은 국가의 주요 산업이었으므로, 야장은 여타 장인과 마찬가지로 신라 국가로부터 관등을 받을 수있는 신분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야장의 딸은 ‘賤’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신라 지배층의지방민에 대한 차별의식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즉 읍중에는 강수 집안과 같이 왕경에서 사민되어 部에 편적되고 골품과 경위를 지닌 지배층이 모여 살았던 반면, 읍외에 살던 주민은소경민이었음에도 여타 지방민과 동일하게 부에 편적되지 않고 골품과 경위를 부여받지 못하였다고 판단된다. 국원소경의 읍중과 읍외의 공간은 신분적으로 구별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erritory and composition of Kugwŏn Sogyŏng and to reveal the status of residents who lived in the outside of the center of Kugwŏn Sogyŏng. First, various literature records and epigraph materials were reviewed to reveal the territory of Kugwŏn Sogyŏng. The territory of Kugwŏn Sogyŏng wa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Ch’ungju-mok of Chosŏn Dynasty,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aspects. Approximately, it can be said that the territory of Kugwŏn Sogyŏng included Ch’ungju-si and parts of Ŭmsŏng-kun, Koesan-kun and so on. The composition of Kugwŏn Sogyŏng was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iography of Kang Su(强⾸) and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ults. In the biography of Kang Su, Ŭpchung(⾢中) and Pugok(釜⾕) were presented as contrasting spaces. Ŭpchung was the center of Sogyŏng and corresponds to the area of T’app’yŏng-ri, Chungangt’ap-myŏn, Ch’ungju-si. Pugok is difficult to determine its location in detail, but it is considered to be a village in Kugwŏn Sogyŏng. It was estimated that Pugok where ironworks was located was not far from the center of Sogyŏng and was connected to the center by road. Finally, through the case of a blacksmith from Pugok, the status of natives living outside the center of Sogyŏng was revealed. Like the Kang Su family, people who were transferred from capital of Silla to the center of Sogyŏng were organized in Pu (部), and could have Kolp’um(⾻品) and Kyŏngwi(京位). On the other hands, it is judged the residents living outside the central town were not organized in pu(部), and could not be created Kolp’um and Kyŏngwi. It can be said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enter of Sogyŏng were distinguished by their status.
Ⅰ. 머리말
Ⅱ. 국원소경의 범위
Ⅲ. 국원소경의 읍중과 부곡
Ⅳ. 소경 주민의 신분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