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임신과 출산에 있어 산전관리와 시설 분만은 필수 의료서비스다. 20세기 초반 이상 임신을 진단하고 임신 합병증을 관리하는 기술이 개발되며 전문 의료인에 의한 산전 진찰의 개념이 생겨났으나 근대 한국의 여성들 대부분은 가정에서 출산을 했다. 식민지 시기와 한국 전쟁을 지나며 의료인과 조산원, 병원의 숫자가 늘었으며 이와 함께 시설 분만의 비율도 점차 증가했다. 특히 한국은 산업화된 국가들 중에서도 거의 모든 산전 진찰과 분만이 산부인과 전문의에 의한 것이고 병원 분만인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 발간된 문헌을 고찰하며 한국의 출산 환경이 가정 및 산파, 조산사 중심에서 병원 및 산부인과 전문의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된 과정을 세 가지 요인이 맞물려 작동한 결과로 설 명한다. 첫 번째는 산부인과 전문의 중심의 가족계획사업, 두 번째는 조산사 역할을 제한한 의료법 개정과 초음파 등 현대 산전 진찰 기술의 의사 독점, 세 번째는 의료 보험제도 도입으로 인한 분만 병원에의 접근성 증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임신과 출산의 과정이 가정과 비의료인에서 병원과 전문의료인 중심으로 전환하는 주요 동력을 이해할 수 있다.
Antenatal care and facility-based delivery have become essential contemporary health service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While the medical concept of antenatal care was emerging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diagnosing pregnancy and managing its related complications, most women in modern Korea gave birth at home. As Korea moved through its colonial period and on to the Korean War, the number of medical professionals, midwives, and hospitals increased, leading to a gradual rise in facility-based deliveries. Notably, Korea stands out among industrialized nations in that nearly all its antenatal care and deliveries are conducted by obstetricians in hospitals.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of the time to explain this rapid shift from home-centered to hospital-centered and obstetrician-led childbirth due to three interconnected factors: (1) the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centered around obstetricians; (2) the revision of medical laws restricting the role of midwives and physicians’ exclusive control of modern antenatal diagnostic technologies, such as obstetric ultrasound; and (3) the increased accessibility to hospital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This study seek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driving forces behind the transition of pregnancy and childbirth from homes and non-medical professionals to hospitals and specialized medical professionals.
1. 머리말
2. 가족계획사업에서 의사의 역할 변화
3. 산과 기술의 향상과 조산사 역할의 제도적 한계
4. 의료보험 제도의 도입과 확대에 따른 현대 산전 진찰 기술에의 접근성 향상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