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41권 제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 결속과 강조 현상을 통한 화장품 광고의 감성 소구 유형 분석

Analysis of Emotional Appeal Types in Cosmetic Advertising Through Text Connectivity and Emphasis Phenomena

DOI : 10.12925/jkocs.2024.41.5.1188
  • 15

본 연구는 화장품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감성 요소를 마케팅의 주요 수단인 광고에서 찾고자 화장품 광고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광고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인 이미지와 카피 사이의 결속과 강조 현상을 중심으로 유럽의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소구 전략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우선 화장품광고에 나타나는 보완적 결속, 강조적 결속, 반복적 결속 등 이미지와 카피의 결속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화장품 광고의 강조적 특징을 강조의 전략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광고에서 강조되는 신뢰, 기대, 기쁨 등의 감성소구의 요소들을 발견하였으며, 이들이 갖는 궁극적인 감성 소구 전략도 파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motional elements tha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smetics industry within the realm of advertising, a key marketing tool. The analysis focuses on cosmetics advertisements, examining the strategies of appeal evident in European cosmetics advertisements, centered around the phenomena of interconnection and emphasis between images and copy. The analysis first identified types of connectivity between images and copy in cosmetic advertisements, such as complementary connection, emphatic connection, and repetitive connection. Subsequently, the emphatic features of cosmetics advertisements were diversely categorized from a strategic dimension of emphasis. Based on this analysis, elements of emotional appeal such as trust, expectation, and joy that are emphasized in functional cosmetics advertisements were identified, and their ultimate emotional appeal strategy was also discerned.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