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알리아(Dahlia pinnata Cav.) 꽃차의 침출 조건 및 제다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함유량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in Dahlia(Dahlia pinnata Cav.) Flower Tea Based on Extraction Conditions and Processing Methods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41권 제5호
- : KCI등재
- 2024.10
- 1199 - 1209 (11 pages)
다알리아(Dahlia pinnata Cav.)는 멕시코 아즈텍인들이 식용으로 재배하여 꽃잎은 샐러드로, 뿌리는 식용이나 약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화훼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용이나 약재로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알리아 꽃을 차로 제조하여 다양한 침출 조건과 제다법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al 소거 활성으로 평가하였으며, 생리활성 성분은 총 폴리페놀 함량(TPC)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을 분석하였다. 건조된다알리아 꽃차는 90℃에서 침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침출 시간은 8분, 침출 횟수는 3회가 적합하였다. 다양한 제다 방법 중에서 증제법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생화, 건조, 덖기 순으로 나타났다. 증제된 다알리아 꽃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0.9 mg/g과 80.6 mg/g으로 건조된 녹차와 비교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은 낮지만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약 3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알리아 꽃이 우수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제로서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등에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Dahlia(Dahlia pinnata Cav.) was cultivated by the Aztecs in Mexico for culinary purposes, with the petals used in salads and the roots used as food or medicine. However, today it is primarily used as an ornamental plant, and research on its use as food or medicine is limited. In this study, dahlia flowers were processed into tea,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were evaluat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and processing methods.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bioactive compounds were analyz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TFC). Dried dahlia flower tea extracted at 90℃ yielded the highest levels of bioactive compounds, with an optimal extraction time of 8 minutes and three extraction cycles. Among the various processing methods, steami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fresh flowers, drying, and roasting. The steamed dahlia flower tea had a total polyphenol content of 50.9 mg/g and a total flavonoid content of 80.6 mg/g. Compared to dried green tea, the polyphenol content was lower, but the flavonoid content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hlia flowers contain significant amoun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have high potential for use as an antioxidant in functional foods,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