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앱 어포던스 특성이 이용자 몰입감과 e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The Effect of Golf App Affordance Characteristics on User Immersion and E-Continued Use Intention : Targeting Chinese Consumers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41권 제5호
- : KCI등재
- 2024.10
- 1285 - 1297 (13 pages)
본 연구는 중국 골프 시장 극대화 성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골프 앱 어포던스특성에대한 이용자의 인식이 이용자 몰입감과 e-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는데있다. 조사 대상은 2022년 6월 1일 ~ 8월 1일까지 중국선전(深圳), 싼야(三亚), 쑤저우(苏州)에 골프 앱사용중인 총 504명의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골프 앱 어포던스의 하위요인별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가 즐거움 및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감의 하위요인별 즐거움, 주의집중이 사용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 주의집중은 골프 앱 어포던스의 하위요인별 인지적, 감각적, 기능적 어포던스가 사용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users' perception of golf app affordance characteristics affects users' sense of immers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use in a situation where the Chinese golf market is in the process of being maximized. I see and there it is. The survey target was a total of 504 people using the golf app in Shenzhen, Sanya, and Suzhou, China from June 1 to August 1, 2022. SPSS 25.0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 addi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ensory affordance, functional affordance, and cognitive affordance for each sub-factor of golf app afford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njoyment and attention. Second, enjoyment and attention for each sub-factor of immers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se and intention to reuse. Third, enjoyment and attention were found to mediate the impact of cognitive, sensory, and functional affordances of each sub-factor of golf app affordances on satisfaction of use and intention to reuse.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논의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