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립공원연구지 제15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설악산국립공원 주변 지하수관측망의 수위변동 해석

Interpretation of Water Level Fluctuations in the Groundwater Observation Network around Seoraksan National Park

DOI : 10.54406/jnpr.2024.15.2.037
  • 6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 주변 지역에 설치·운영 중인 지하수관측망의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2012년에서 2021년까지 장기 관측된 관측망 지하수위 자료에 대하여 시계열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관측망은 3개소로 모두 암반대수층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운영기관에서 주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선형분석결과, 고성인흥 관측소에서 -89.7 cm/yr의 지하수위 하강이 나타났고, 고성토성 관측소에서는 3.7 cm/yr의 지하수위 상승이 나타났다. 3개 관측소에서 강한 자기상관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고성인흥관측소는 시간지연이 고성토성과 속초노학의 약 8배로 장주기성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수의 시간지연은 고성토성, 속초노학과 유사하게 분석되어 두 지하수위 자료와 강한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강수와 지하수위의 교차상관함수를 분석한 결과 고성인흥은 지연시간은 12일로 강우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상호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향후 설악산국립공원 주요 하천에서의 유량 상시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지하수위 모니터링 자료와 연계하여 설악산국립공원의 수자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To understand the water level fluct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groundwater observation network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area around Seoraksan National Park, a time series analysis of long-term data of groundwater levels observed in the network from 2012 to 2021 was performed. The observation network comprises three locations, all installed in the bedrock aquifer, and periodic inspections and management are carried out by the relevant operating agency. According to the linear analysis results, the groundwater level decreased by -89.7 cm/yr at the Goseong-Inheung Observatory, whereas it rose by 3.7 cm/yr at the Goseong-Toseong Observatory. A strong autocorrelation was observed among the three observatories. In particular, at the Goseong-Inheung Observatory, the time delay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8 times longer than that at the Goseong- Toseong and Sokcho-Nohak observatories, whereas the time delay of precipitation was similar to the time delay of Goseong-Toseong and Sokcho-Nohak. These results were judged to have strong linearity and memory effects with the groundwater level data. Analysis of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s showed that Goseong-Inheung had a certain degree of cross-correlation with rainfall, with a delay of 12 days. If the discharge in major rivers of Seoraksan National Park is continuously monitored, researches on water resources using river discharge and groundwater levels are expected to be actively conducted.

서론

연구지역 및 방법

결과 및 토의

결론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