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립공원연구지 제15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전북특별자치도 도립공원 미래 탐방수요 예측

Forecasting of Future Visit Demands for Provincial Parks in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OI : 10.54406/jnpr.2024.15.2.163
  • 1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계열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전북특별자치도 내 4개 도립공원(마이산, 선운산, 대둔산, 모악산)의 미래 탐방수요를 예측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4개 도립공원 탐방수요는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탐방수요 증가는 자원 훼손과 탐방경험의 질적 저하의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공원관리청에서는 과도한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한 탐방 인프라의 양적확대보다 자원과 탐방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탐방안내소 등 기본시설 확충,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제공, 저지대수평 탐방문화 유도, 지역사회와 연계한 생태관광프로그램 등이 대표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ecast the future visit demands for four provincial parks in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sing time series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mand for future visits to the four provincial parks will continue to increase up to 2030. However, increased demand for visits can directly damage resources and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visiting experience. Therefore, park management agencies should focus their policy capabilitie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resources and services rather than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visiting infrastructure to create excessive new dem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expansion of basic facilities, such as information centers, provision of customized information to visitors, induction of a low-lying horizontal visit culture, and ecotourism program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고찰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