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디지털 노마드와 워케이션이라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업무방식에 주목하여, 이러한 현상에 대한 다각도의 이해를 시도하였다. 구글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의 검색어 분석, 국내 주요 온라인 서점의 관련 도서 목록분석을 통해 대중의 관심도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태국 현지 코워킹스페이스 사례조사와 외국인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디지털 노마드 생태계의 미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특히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노마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였으며, 이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 일과 삶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임을 발견하였다. 치앙마이와 방콕의 사례 연구는 코워킹스페이스가 디지털 노마드 커뮤니티 형성과 생산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설문조사 결과, 연령과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업무방식과 라이프스타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안적 라이프스타일로서 디지털 노마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개인, 사회, 제도적 차원의 과제 해결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시의성 있는 주제 탐구, 다층적 분석, 실증 기반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표본의 한계로 인한 일반화의 어려움 등의 한계점이 있어, 향후 장기적 영향분석, 국가 간 비교, 디지털 노마드 친화적 정책과 인프라구축 전략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ing lifestyles and work patterns of digital nomads and “workation” (work + vacation) enthusiasts. By analyzing search trends from Google Trends and Naver DataLab, along with related book listings from major online bookstores in South Korea, this study assesses the growing public interest in these phenomena. Field investigations of coworking spaces and surveys with foreign users in Thail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micro-characteristics of digital nomad ecosystems. The findings reveal a surge in public interest in digital nomadism after the COVID-19 pandemic, which signals a paradigm shift in work and life in the post-pandemic era. Case studies in Chiang Mai and Bangkok highlight the crucial role of coworking spaces in fostering digital nomad communities and enhancing work productivity. Surveys uncover heterogeneity among digital nomads, with differences in work styles and lifestyles based on age and gender. However, the sustainability of digital nomadism as an alternative lifestyle requires addressing challenges at individual,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s. The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ts timely exploration of an emerging topic, multi-level analysis, and evidence-based insights. Although the findings may have limited generalizability mainly due to the small and contextual samples, the study offers valuable contributions to academic discourse and policy discussions.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long-term impacts of digital nomad lifestyles, conduct cross-national comparisons, and investigate strategies for developing nomad-friendly policies and infrastructure.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